주기철기념관 외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진해지역에서도 항일독립운동이 음양으로 많이 전개되었습니다. 그러나 유적지들이 제대로 보존되지 못한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금회부터는 웅천읍성 동남쪽에 자리한 주기철목사기념관을 찾아서 항일운동의 발자취를 찾아봅니다. 웅천 구도로로 진입하는 .. 진해실록/항일독립운동 2019.07.02
웅동 삼일독립운동기념비 이전의 웅동면에서 웅천면으로 가기 위해서는 국도2호선을 따라가야 했습니다. 3.1운동기념비는 남양동 4-38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서쪽 정면에서 바라본 전경입니다. 제단의 표지석입니다. 비의 남쪽에 세워진 안내판입니다. 서남방향에서 바라본 하단의 모습입니다. 뒷쪽에서 바라본 상.. 진해실록/항일독립운동 2019.06.25
사삼독립운동 웅동지역발원지 웅동1동의 소사동에서 송수관로를 따라 고개를 넘어 웅천동으로 이어지는 시위 이동로입니다. 웅동1동의 시가지로 진출입하는 소사천변의 도로 위에 사삼독립운동 웅동지역발원지 표지석이 서있습니다. 표지석의 위치는 남양동 3-32입니다. 독립만세를 외치기 위해 동민들이 모여들었던.. 진해실록/항일독립운동 2019.06.21
석천 주기효 공적비 웅천초등학교는 2018년 제100회 졸업식을 하고 신축교사인 남문동 1291로 이전하였습니다. 공적비가 서있는 곳은 웅천초등학교로 성내동 399-4입니다. 구 교사의 서쪽 정문 남쪽편에 덩그러니 남은 안내판과 비석이 보입니다. 웅천사립개통학교설립자 석천선생 주기효공적비입니다. 1941년 9.. 진해실록/항일독립운동 2019.06.19
향토사료관(2005-2019) 진해문화원은 현 아이세상장난감도서관(구 진해시립도서관-2010.7.1. 부터 창원시립진해도서관)의 북쪽편 건물에서 원사를 두고 더부살이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원의 숙원사업인 새원사는 현재 부지를 거의 확정한 상태로 순조롭게 부지의 매입이 완료되면 설계, 시공을 거쳐 내년인 202.. 진해실록/향토사료관 2019.06.06
입촌작가실 전시장 서편의 진해에술촌 입촌작가실 외부 벽면 입촌작가실 내부 전시장 외부 남쪽 2016.4.1-4.4 진해미술협회 정기회원전 소책자(저작권 대상으로 작품 소개는 생략) 진해실록/향토사료관 2019.06.01
살림용구 7 중앙전시관 가운데 기둥 주위의 전시장 전경(북서에서 남동 방향) 혼례상(혼례를 치를 때 베풀어 놓은 큰상) 목안(나무기러기) / 목안보(목안을 싼 보자기) 가야금 / 풍금(올갠) 사인교(앞뒤에 각 두 사람씩 모두 네 사람이 메는 가마 돌태(씨를 뿌리고 덮은 흙을 다져주는 연장) 전시장 내.. 진해실록/향토사료관 2019.05.27
추억용품 2 공중전화 저울 밀판 / 밀방망이 빙설기 / 국수틀 / 손풀무 / 구유(소, 말 등 가축에게 마실 물을 담아주는 나무를 파서 만든 통) 기름틀(콩, 참깨, 들깨 등의 기름을 짜는 틀) / 대장연장통 목수연장통 / 먹통 물레(고려시대 말 목화씨를 들여온 문익점의 딸 문례가 만든 누에고치에서 목화실.. 진해실록/향토사료관 2019.05.23
추억용품 1 중앙전시대 동편 전경(남쪽에서 바라봄) (북쪽에서 바라봄) 선풍기 곱돌화로 풀무 번철 무쇠화로 석쇠 삼발이 화덕 종 잠수복(잠수부가 물 속에서 작업할 때 입는 옷) 석탄난로 방아공이 / 방아공이쇠(방아공이 밑에 달아 놓는 연장) 방아공이쇠(방아공이 밑에 달아놓는 쇠) 장기판 / 장기.. 진해실록/향토사료관 2019.05.20
농기구 6 중앙전시대 서편 전경(남쪽/서쪽에서 바라봄) 디딜방아 돌확 / 맷돌 소줏거리(탁주를 안에 넣어 찬물이 담긴 항아리를 위에 올려놓은 후 가열하여 증류한 술 '소주'를 받는 기구 소주독(소주를 보관하는 큰 오지그릇이나 항아리) 남방에(통나무를 파서 만든 '나무절구'의 제주도 방언) 젓.. 진해실록/향토사료관 2019.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