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광복 후 (95면) Ⅳ. 광복 후의 진해공립고등여학교의 변화 1. 진해공립고등여학교의 재개교 광복 후 북위 38도선 이남에 주둔한 일본 해군은 진해에 있는 진해경비부 주도 하에 미국 제7함대사령관이 지시를 받고 있었다. (96면) 1945년 9월 9일 미국 제7함대사령관 토마스 킨케이드(Thomas G. Kincaid) ‘일.. 학교사/진해여자고등학교 2017.03.30
7 학교현황 (94면) 5. 학교의 주요 현황 가. 역대 교장 대 이 름 시 작 마 침 초대 천정용승(淺井龍勝) 1923. 3.26 1929. 1.18 2대 아부길조(阿部吉助) 1929. 2.13 1932. 3.28 3대 복본시태랑(福本市太郞) 1932. 3.29 1936. 4.20 4대 급천민차랑(及川民次郞) 1936. 4.21 1939. 4. 6 5대 안정민언(安井敏彦) 1939. 4. 7 1943. 3.30 6대 고송.. 학교사/진해여자고등학교 2017.03.27
6 교지 보존등기 (90면) 4. 학교부지의 보존등기 진해학교조합은 학교 교사에 이어 기숙사도 준공하여 1930년 10월 26일 문을 열게 되자 학교 부지에 대한 임차기간의 종료(1932년 3월 30일)에 맞추어 소유권 보존등기를 서두르게 되었다. 동조합이 본교의 관유부지에 대하여 조선총독부에 신청하여 무상양여를.. 학교사/진해여자고등학교 2017.03.24
5 기숙사 신증축 (88면) 3. 기숙사의 신축과 증축(주17) (주17) ‘진해학교조합기숙사증축비기채의건(회의록첨부)(107면). 진해학교조합. 1940.’ 및 ‘진해학교조합기채의 건-경상남도(도면, 회의록 첨부)(118면). 진해학교조합. 1937.’ 관련 내용 요약 1) 1923년 개교와 동시에 대수통 1번지의 민가를 임대하여 기.. 학교사/진해여자고등학교 2017.03.20
4 교사 증ㆍ개축 (83면) Ⅳ. 진해공립고등여학교의 발전 1. 학급 증설 개교 후 약 6년 동안은 입학생의 수가 적었으나 1926년부터 신입생도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인가정원(200명)을 학급별 10명 이상 초과해 수용하게 되었다. 진해공립심상고등소학교와 경화공립심상소학교의 심상과 졸업생수의 증가와 진해.. 학교사/진해여자고등학교 2017.03.17
3 개교 과정 (78면) Ⅲ. 진해공립고등여학교의 개교(주5) (주5) ‘진해공립고등여학교 설치의 건(회의록)(84면). 진해학교조합. 1922.’ 및 ‘진해공립고등여학교 위치 변경에 관한 건(도면첨부)(8면). 진해학교조합. 1922.’에서 관련내용을 요약하였다. 1. 학교 위치 변경 최초 설립인가 때의 신청 위치는 .. 학교사/진해여자고등학교 2017.03.13
2 설립인가 (75면) Ⅱ. 진해공립고등여학교(鎭海公立高等女學校)의 설립(주1) (주1) ‘진해공립고등여학교 설치의 건(회의록)(84면). 진해학교조합. 1922.’ ‘2.-4.’의 내용을 요약하였다. 1. 고등여학교의 설립의 시대적 배경 학교 설립이 구체화된 1922년 당시 진해에는 진해공립심상고등소학교에 부설.. 학교사/진해여자고등학교 2017.03.09
1 설립 배경 광복 전의 진해읍에는 일본인이 설립한 학교로 관립학교 1개교(진해고등해원양성소), 진해학교조합에서 성립한 공립학교 6개교, 사립유치원 1개원(진해유치원) 등의 교육기관이 있었습니다. 진해공립심상고등소학교(현 도천초등학교)와 함께 진해지역의 일본인 학교를 대표하였던 진해.. 학교사/진해여자고등학교 2017.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