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박물관 (599면) 18. 교과서박물관 ※ 교과서 목록과 출판정보는 생략하고 일부 도서의 이미지만 올립니다. 1. 조선시대 및 대한제국시대 동몽선습 천자문 아희원람 학교체조교수서 (560면) 2. 일제강점기 초학요선 도화임본 통학경편 (601면) 3. 광복 이후 1960년까지 초등조선력사 국어 6-1 우리나라의 .. 학교사/- 실록(1911-2015) 2019.03.25
현대농업수신서 상급용 3 현대농업수신서 상급용.pdf← PDF 파일 ---------------------------------------- 현대농업수신서의 마지막회로 부록의 내용과 출판정보를 올립니다. ■ 제3장 경례(敬禮)로 인사예절입니다. 최고의 경례(最敬禮)라 하여 최고의 인사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 제4장은 복장(服裝)으로 흔히 입성(옷의.. 교과서박물관/- 1940년대 2014.07.04
현대농업수신서 상급용 2 12장의 본 교재 뒤에 부록으로 나와 있는 「현대중등작법요항」입니다. ■ 본 교재와 같이 첫부분에 예언(일러두기)가 있습니다. ■ 부록의 목차(차례)으로 모두 17장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제1장 거상의 심득(居常 心得)으로 일상생활의 마음가짐으로 볼 수 있습니다. ▷ 「儀容端正 步.. 교과서박물관/- 1940년대 2014.07.03
현대농업수신서 권이 1 수신(修身)은 일제강점기의 필수교과서였습니다. 현대농업수신서는 일본인의 저작으로 한문과 일본어로만 편집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국내의 농업보습학교에서도 사용하였는데, 책에 공주공립농업보습학교의 교명과 책소유주의 이름이 아와 있습니다. ■ 표지에는 책이름을 확인할 .. 교과서박물관/- 1940년대 2014.06.30
심상소학 국어서방수본(6학년용상) 3 심상국어서방수본 6상.pdf← PDF파일 ---------------------------------------------------- 심상소학 국어서방수본 제6학년용상권의 마지막회입니다. ■ 『력, 계절, 월령, 축제일 입춘, 피안, 입해, 토용』 ■ 『제국, 수도, 도회, 시찰, 체제, 무사태, 회엽서』 ■ 출판정보입니다. 1922년 12월 인쇄, 1913년 1.. 교과서박물관/- 1920년대 2014.06.21
심상소학 국어서방수본(6학년용상) 2 오늘은 어제에 이어 6-10 수본을 소개드립니다. ■ 일본어는 파일, 한문은 수본의 음을 니나냅니다. ■ 『심구, 단청, 필세, 비범 우유, 원료, 종류, 격증』 ■ 『가로, 공원, 동상, 장관, 광야, 풍경, 목장, 목초, 병목, 밀림, 유역, 연선』 『지식, 설계, 규모, 웅대, 발달, 결과, 완성, 광명, 암.. 교과서박물관/- 1920년대 2014.06.20
심상소학 국어서방수본(6학년용상) 1 심상소학 국어서방수본 제5학년용상권에는 한문 6본, 일본어 9본 등 15본이 있습니다. ■ 표지와 속표지입니다. 문부성에서 발행한 것으로 보아 일본인학교에서 사용한 책임을 알 수 있습니다. 먹물이 묻어서 상태가 좋지 않은 편입니다. 책을 사용한 분이 엄기섭임을 기록으로 남겼습니.. 교과서박물관/- 1920년대 2014.06.19
심상소학 국어서방수본(5학년용상) 2 심상소학 국어서방수본 제5학년용상의 2회입니다. ■ 일본어와 한문 혼용본은 원문, 한문본은 음만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 ▷ 『여, 기, 방, 비, 북, 개, 요, 복, 취, 식, 전, 탄』로 같은 부(部)의 글들을 비교합니다. ■ 『정치, 농업, 수요, 공급, 신용, 번창』 교과서박물관/- 1920년대 2014.06.17
심상소학 국어서방수본(5학년용상) 1 이번 주에는 일본 아동용으로 제작된 서방수본 을 소개드립니다. 심상소학 국어서방수본 제5학년용상입니다. ■ 표지와 속표지입니다. 속표지에 조선총독부가 아닌 문부성(文部省)이라는 관청명에서 일본아동용을 제작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책의 주인이 엄기섭(嚴起燮)임을 알 .. 교과서박물관/- 1920년대 2014.06.16
보통학교습자첩 권이 2 보통학교습자첩 권이는 제2학년 1학기용 서예 교과서입니다. 오늘은 한글 3본 모두와 한문 6본 중 3본을 올립니다. ■ 한글수본입니다. 「저 생도가 독본은 읽는다」,「농부가 보리밭을 밟는다」,「나는 지금 계란을 삶는다」인데, 생도에는 방점(·)이 사용되었고, 밭은 '밧'으로 표기한 .. 교과서박물관/- 1910년대 2014.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