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몽선습 5(붕우유신) 동몽선습(童蒙先習)은 1952년 1월 김준환(金駿煥)님이 덕흥서림에서 발행하였습니다. 본문 24면, 표지 포함 총 28면으로 되어 있습니다. 한문을 한글로 풀이를 하였으니 동몽선습언해(童蒙先習諺解)라고 보는게 더 타당할 것 같습니다. ■ 오늘은 마지막 순서로 오륜의 다섯째 덕목인 붕우.. 교과서박물관/조선시대 2015.10.09
동몽선습 4(장유유서) 삼강오륜(三綱五倫)의 오륜 중 네 번째 덕목인 장유유서(長幼有序)입니다. 나이가 많은 사람과 나이가 적은 사람 사이에는 위, 아래가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식사를 할 때 웃어른이 먼저 밥술을 들면 아랜사람이 식사를 시작하는 사례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언해.. 교과서박물관/조선시대 2015.10.08
동몽선습 3(부부유별) 삼강오륜(三綱五倫)의 오륜 중 세 번째 덕목인 부부유별(夫婦有別)입니다. 남편[夫]과 아내[婦]가 부부로서 살아가는 데 분별함이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남자와 여자로서 가정에서 각자의 성역할에 충실해야 함을 뜻하는 말이라 하겠습니다. 각 내용들은 아래의 언해를 살펴보시기 바.. 교과서박물관/조선시대 2015.10.07
동몽선습 2(군신유의) 삼강오륜(三綱五倫) 중 오륜의 두 번째 덕목으로 소개한 군신유의(君臣有義)입니다. 임금은 인군으로 표현하였습니다. 다음 회에는 세 번째 덕목인 부부유별(夫婦有別)을 소개드리겠습니다. 교과서박물관/조선시대 2015.10.06
동몽선습 1(부자유친) 이번 주에는 동몽선습(童蒙先習)을 소개드립니다. 한문을 한글로 풀이를 하였으니 동몽선습언해(童蒙先習諺解)라고 보는게 더 타당할 것 같습니다. 1952년 1월 김준환(金駿煥)님이 덕흥서림에서 발행하였습니다. 본문 24면, 표지 포함 총 28면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서당에서 「천자.. 교과서박물관/조선시대 2015.10.05
천자문 4 (적구충장) 어제는이런저런 사정으로 한 회를 넘겼습니다. 따라서 오늘이 천자문 소개의 마지막회가 됩니다. 오늘의 사자성어는 「구선손반 적구충장」입니다. 앞면의 사자성어와 쌍이 됩니다. 具膳飧飯 適口充腸(구선손반하고 적구충장이라.) 「반찬을 갖추어 밥을 먹고, 입에 맞추어 창자를 .. 교과서박물관/조선시대 2015.09.25
천자문 3 (동서이경) 오늘의 사자성어는 「동서이경」입니다. 전 회의 두 글자와 합친 것입니다. 「동에서 해가 뜰 때 출발하여 서에 해가 질 때까지 걸었으니 서울에 이르는 길이 멀기만 하다.」는 뜻인가 봅니다. ■ 동서이경/ 배망면락 / 부위거경 / 궁전반울 설명은 줄입니다. 다음 회에 계속됩니다. 교과서박물관/조선시대 2015.09.23
천자문 2(극념작성) 본 천자문은 1899년(함풍신유) 겨울(계동) 전주(완산)에서 발행하였습니다. 중간에 한석봉초천자문이라는 내용이 있는데 겹장의 17장본으로 되어 있습니다. 조선 최고의 명필이었던 한석봉(한호)의 서체임을 알게 합니다. ■ 「극념작성」으로 시작합니다. 앞면에 이은 문장으로 景行維賢.. 교과서박물관/조선시대 2015.09.22
천자문 1 오랜만에 교과서로 돌아왔습니다. 이번 주에는 천자문을 소개합니다. ■ 책 본문의 마지막 장에 「함풍신유계동완산」이라는 글씨가 나타납니다. 1899년(함풍신유) 겨울(계동) 전주(완산)에서 발행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중간에 한석봉초천자문이라는 내용이 있는데 겹장의 17장본으.. 교과서박물관/조선시대 2015.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