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군항마을역사관 (501면) ■ 진해군항마을역사관(鎭海軍港마을歷史館. 대천동 2-9) 1. 근대문화유산 관광안내도 293) 293) 출처 : 진해군항마을역사관 팜플렛 p.6. 중앙동으뜸마을만들기추진위원회 외. 2014 (1) 육각집 (5) 진해우편국(구 진해우체국 국사) (6) 희망원(현 진해희망의집) 2. 주요 연혁 - 2011년 4월 행정.. 학교사/- 실록(1911-2015) 2018.12.06
탐방 3(흑백다방~군항마을역사관) <3> 흑백다방(문화공간 흑백) 1) 1951년 박윤상이 개업한 칼멘(맨)다방은 1955년 12월 28일 업주 박윤삼이 사회적인 물의를 빚은 후 이듬해에 유택렬의 친구였던 작곡가 이병걸에 인수되어 1960년까지 운영하였다. 1955년 3월 23일 까치를 보고 흑과 백으로 이루어진 모양에서 훗날 인수 후에 .. 진해실록/- 근대사보전회 2018.04.05
안내 팜플렛(2016) 제54회 진해군항제에 맞춰 발행한 진해군항마을역사관의 팜플렛의 내용이 지난 해와 일부 다른 것을 확인하고 자료를 올립니다. 본 역사관 방문 시에 참고하십시오. ■ 접이식 팜플렛의 앞면과 뒷면입니다. ■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 면들을 확대하였습니다. ▪ 수정할 자료 1906년..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6.04.23
군항마을(2014) 20(2층 중앙) 군항마을역사관 2층 중앙의 사각지주에는 장옥에 대한 대형사진을 배치하였습니다. ■ 중앙의 사각기둥과 천정의 전경입니다. 속에 등을 넣어 사진을 볼 수 있게 하였습니다. ■ 천정의 구조와 모형비행기(VX-XEN)를 볼 수 있습니다. ■ 근대문화유산인 진해근대장옥건축물의 확대사진입..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6.04.19
군항마을(2014) 19(남쪽 1) 오늘은 군항마을역사관의 시청각교육실과 남쪽 벽면을 살펴봅니다. ■ 2층전시실 북쪽의 시청각교육실입니다. ■ 이미 여러 차례 소개드린 바 있는 진해시가지 사진입니다. 사진 위의 왼쪽을 자세히 보면 저수지가 있고, 그앞에 좁은 운동장(해군운동장), 왼쪽(남쪽)에 해군하사졸집회소..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5.05.07
군항마을(2014) 15(진해 근대 건축) 2층의 두 번째 순서는 「진해의 주요 근대 건축 및 시설」입니다. ■ 게시판 왼쪽의 모습입니다. ▶ 진해탑은 지금의 용어이고, 광목 전 일본인들이 붙인 이름은 진해기념탑(진해해전기념탑)이었습니다. 설명은 생략합니다. 하단의 해설을 참고하십시오. ▪ 수정 및 참고할 내용 1) 1952..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5.05.01
군항마을(2014) 14(근대진해의 행사) 단양의 대명리조트에서 열린 1박 2일간의 출장으로 탑재가 늦었습니다. 오늘은 2층 게시물의 첫 순서로 「근대 진해의 행사와 사건」을 소개드립니다. ■ 「근대 진해의 행사와 사건」판에는 4장의 사진과 배경의 10월유신탑 등 5장이 보입니다. ■ 각 사진의 내용은 하단의 설명을 참고하..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5.04.30
군항마을(2014) 12(한일 전함) 1층 동편전시실의 서쪽 벽면의 전시대 내부를 살펴봅니다. ■ 빛의 난반사가 심해서 내부가 잘 보이지 않습니다. ■ 총 4단인 전시대의 상단에 임진왜란 당시 조선과 왜의 전함모형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설명이 없어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연날리기를 할 때 연실을 감았던 ..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5.04.28
군항마을(2014) 11(군장마크) 군인들이 제복에 부착하였던 표식을 군장마크라 이야기합니다. ■ 1층 동편전시실 북동모서리의 모습입니다. 군장마크 외에 수병복과 교실에서 음악시간에 연주하였던 올갠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북쪽에는 1926년 준공하였던 진해기념탑(진해해전기념탑, 러일승전기념탑) 사진이 있습니..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5.04.27
군항마을(2014) 8(명사의 방문) 진해군항마을역사관 동편전시실에서 「명사의 방문」코너를 살펴봅니다. ■ 8장의 사진이 들어 있는 전경입니다. ■ 각 사진들을 살펴봅니다. 아래에 있는 해설을 참고하십시오. 1955년 9월 1일의 진해시 승격을 앞두고 내무부의 류행정과장 일행이 현장조사를 위하여 방문하였습니다. ■..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