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학요선 9(수사부, 조사부) 초학요선 소개의 마지막 순서입니다. ■ 수사부에서는 우리가 사용하는 수들의 단위를 다루고 있습니다. ■ 조사부 ■ 출판정보로 1918년 노명호에 의해 저작, 발행되었고 정가는 90전이었습니다. 9회 동안 소개드린 초학요선의 연재를 모두 마칩니다. 교과서박물관/- 1910년대 2015.12.11
초학요선 8(형용사급동사부) 오늘은 형용사급동사부(형용사 및 동사부)를 소개드리겠습니다. 동사급형용사부와는 다루는 비중에 따른 품사의 조정으로 생각이 듭니다. 106-108면에 동사부, 108면 2행에 명사부를 소개하였습니다. 다음회에는 품사소개의 끝순서로 수사부, 조사부를 안내드리고 출판정보를 올리면서 본 .. 교과서박물관/- 1910년대 2015.12.10
초학요선 7 (동사급명사부) 오늘은 동사급명사부(동사 및 명사부)를 소개드리겠습니다 ■ 42-43면에 있는 동사급명사부(동사 및 명사부)입니다. 44-45면, 48-49에는 동사급형용사부, 46-47면과 62면 1행, 64-81면, 90-97면에는 동사부, 49-63면, 82-87면, 98-104면 명사부, 88-89면 동사급명사부를 다루고 있습니다. 교과서박물관/- 1910년대 2015.12.09
초학요선 6(동사급형용사부) 이번 회에는 초학요선의 본문 중 동사급형용사부(동사 및 형용사부)를 올립니다. ■ 초학요선을 통해 1910년 전후 저자가 살았던 지역의 방언들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어지는 30-31면에 동사부, 32-39면에 동사급형용사부, 40-41면에 동사부가 있습니다. 다음회에는 동사급명사부(동사 및 .. 교과서박물관/- 1910년대 2015.12.08
초학요선 5(동사부) 이번 회에는 초학요선의 본문 중 동사부를 올립니다. ■ 동사부는 11-12면에 잠시 등장하고 이어서 명사부(12-25면)와 동사부(26-27면)가 다시 등장합니다. 다음 회에는 동사급형용사부(동사 및 형용사부)를 소개드립니다. 교과서박물관/- 1910년대 2015.12.07
초학요선 4(형용사부) 이번 회에는 초학요선의 본문 중 형용사부를 올립니다. ■ 본문 : 형용사부(形容詞部) 다음회에는 동사부를 소개드리겠습니다. 교과서박물관/- 1910년대 2015.12.04
초학요선 3(본문-명사부) 금회부터는 초학요선의 본문부를 살펴봅니다. 디지털한글박물관에 소개된 박형익님의 해제입니다. 바로가기(출처) → 초학요선 본문에서는 상단에 품사를 기준으로 분류항을 표시하였다(예: 명사부, 형용사부, 동사부(動詞部)). 각 행에 4자를 나열하고, 각 한자의 왼쪽에는 일본 글자로 .. 교과서박물관/- 1910년대 2015.12.03
초학요선 2(조선어문) 디지털한글박물관의 조선어문에 대한 해제를 살펴봅니다. 바로가기 → 초학요선 “조선 어문”에서는 자모, 철자(14행), 종성부(받침), 격음(된시옷), 중종성(겹받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편가명(片假名) 50음표와 평가명(平假名), 탁음(濁音), 반탁음(半濁音), 합음(合音)을 나열하였다. .. 교과서박물관/- 1910년대 2015.12.02
초학요선 1(서, 범례) 어제 2시 30분부터 남문동 1257번지(웅천동)에서 약 1시간 동안 세스페데스공원 개장식이 있었습니다. 이 공원은 2007년 2월 13일 진해시에서 지정, 조성한 것으로 총면적 14,129㎡인데, 이번에 새로 조성된 부분은 3,200㎡입니다. 세스페데스 신부는 스페인 출신으로 1593년 12월 27일 임진왜란 초.. 교과서박물관/- 1910년대 2015.12.01
도화임본 권2 6(부귤문 외) 오늘은 도화임본 권2의 마지막 부분의 내용들을 살펴봅니다. ■ 제26도 부귤문 귤을 쪼갠 문양으로 물감통에서 많이 사용된 무늬입니다. ■ 제27도와 제28도는 주제가 없이 생활용품들을 제시하였습니다. ■ 출판정보입니다. 1911년(명치44년) 처음 발행하였고, 1913년(대정2년)에 5판을 발행.. 교과서박물관/- 1910년대 2015.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