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진해군항마을역사관 5(1910년 진해지도)

진해인 2014. 6. 25. 07:12

오늘은 지도 한 장을 살펴봅니다.

 

■ 「1924년 진해 지도」라는 설명이 좌상단에 붙어 있습니다.

   이 사진은 소사동(웅동2동)에 있는 김씨박물관(관장 김현철) 별관 주막에 있는 사진을 확대한 것입니다.

   그 사진에서는 「1924년 진해군항대시가계획도」라는 설명이 붙어 있었는데, 이 사진에서도 그대로 차용한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 1912년에 제작된 「진해대시가발전예측도」와 비교해 볼 때 1924년 지도가 아니라 1910년 지도를 좀더 상세화하여 나타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학교(1교만 나타남)를 비롯한 관공서들이 제대로 표기되지 않았습니다. 진해심상고등소학교 외에 경화심상소학교(현 진해중앙초등학교)와 진해고등여학교(현 진해여고), 진해만요새사령부(구 육군대학) 등도 나타나 있지 않습니다.

▷ 또 한 가지의 특징은 일본인 마을에 비해 조선인 거주마을인 경화동을 아주 작게 그린 점입니다.

▷ 현 제황산의 지세를 나타낸 모양을 보면 일본인들이 두산(兜山 투구산) 또는 갑산(甲山 갑옷산)으로 이름을 붙인 것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 이 지도는 일본인 거주 마을명과 도로명을 중심으로 기록하였는데, 좌하단에 추가로 「1920년대 진해시가지조성모습」이라는 설명과 사진을 삽입하여 1924년의 연대를 붙인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사진은 진해시청 홍보담당관실에서 제작한 CD에 들어 있는 사진입니다만 연대가 니와 있지 않습니다.

이 사진의 최초 출처는 진해학교조합에서 1912년 3월 발행한 것으로 추정하는 「진해대시가건설지현황(鎭海大市街建設之現況)」화보에 실린 사진입니다. 이 화보에는 1912년 2월까지의 진해시가지 모습이 나타나 있는데, 진해시가지 제3차분 임대자인 진해학교조합이 이 땅들을 재임대하기 위하여 선전용으로 이 화보를 제작하였습니다.

제작시기에 대한 결정적 증거는 정시천(현 여좌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정시천 제방은 1910년과 1911년 예산에 비용이 반영되었습니다. 문제는 하천[정시천(征矢川)]이 점선으로 되어 있는 것에서 공사 착공 이전의 지도 임을 알 수 있습니다. 1911년 8월 지도(진해박물관 전시)에서는 준공된 실선으로 나타나는 것에서 비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사진이 촬영된 시기는 1910년 4월 해군임시건축지부가청사가 설치되어 진해시가 경영에 따르는 설계를 하였던 1910년 초(4-6월)로 정리할 수 있고, 위 지도의 연대도 1910년으로 수정하는게 맞을 것입니다.

진해학교조합에서 발행(1912년 3월경 추정)한 화보에 나오는 사진입니다. 화보 사진 중에는 192년 1월 개교한 진해심상고등소학교(최초 현동심상고등소학교)의 가교사도 나타납니다. 위 사진의 위치는 알 수 없으나 집의 높이와 지붕의 구조로 보았을 때 장옥을 건설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화보 상단의 진해시가 사진이 1911년 제1차 임대를 마친 곳의 건물들이 들어서 있는 것에서 1911년 진해시가지 조성모습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음 회부터는 안내실의 동편에 이어진 전시실의 모습을 살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