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도천초등학교

진해도천공립국민학교로 교명 변경

진해인 2013. 3. 2. 07:59

2월 26일 블로그 방문자수 200명으로 두 번째 50명을 기록하였고, 2월 27일에는 페이지뷰 237명으로 처음 200명을 돌파하였습니다.

 

오늘은 도천공립국민학교하는 교명이 언제 처음 사용되었는지 흔적들을 들춰가며 여행을 떠납니다.

먼저 도천초등학교홈페이지 학교연혁을 살펴봅니다.

 

■ 1912년 1월 10일 진해심상고등소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전 회에 소개드린 진해시사의 기록을 보면 이날 업무개시를 하였다고 적혀 있으니 개교를 한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진해심상고등소학교 : 위치 도천동(도천국교), 1913.4/1913.12, 업무개시 1912.1.10

 

■ 1945년 10월 31일 일본인으로부터 인수 개교한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홈페이지 학교연혁에 따르면 당시 학교의 이름은 진해공립심상고등소학교가 되어야 하는데 , 이 부분도 교명오류로 전 회에 소개드린대로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1941년 4월 1일)로 기록되어야 합니다.

 

■ 1946년 5월 31일 진해 도천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당시 읍지역 이상은 교명을 지역명(시, 읍)과 법정동명을 붙여 사용하였으므로 바른 이름은 진해도천공립국민학교(약칭 진해도천국민학교)가 됩니다.

   

■ 전 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보면 1944년과 1945년의 학교관련 내용이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은 경화초등학교와 덕산초등학교의 당시 학교연혁지를 통해 유추를 해봅니다.

두 학교 모두 1944년 4월 1일 진해경화국민학교, 진해덕산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도천과 병산(현 중앙초)도 이 시기에 진해도천국민학교와 진해병산국민학교로 교명 변경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만, 일본인학교였기 때문에 교명 변경이 없었을 경우도 가정해 볼 수 있습니다.

 

중앙초등학교에는 관련기록이 전무하고 도천초등학교도 조사를 해 보아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다른 자료를 통해 추적을 합니다.

마산월영초등학교는 1945년 10월 10일 개교해 김주갑(金柱甲) 교장이 부임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광복 이전에는 진해와 마찬가지로 1940년까지 마산공립심상고등소학교, 1941년부터 1943년까지 마산공립국민학교로 나타나며 이후 기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 아래의 1946년 제1회 졸업생의 학적부를 보여주는 나라기록에서도 다른 흔적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이상의 자료들에서 광복 전후의 기록들을 정리하면 1948년 5월 30일까지는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의 교명을 유지한 것으로 보아야 하며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941년 4월   1일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

1946년 5월 31일 진해도천공립국민학교


이에 따라 도천초등학교의 발자취(연혁)에서 『1944년 4월 1일 진해도천공립국민학교로 교명 변경』으로 세웠던 가설은 위와 같이 수정을 하며, 도천초등학교의 연혁지나 학사보고, 학적부 등에서 다른 기록이 발견되면 다시 수정하는 방향으로 하겠습니다.

'학교사 > 도천초등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상징 2 (교표, 교가, 교기)  (0) 2013.03.04
학교 상징 1 (교목, 교화)  (0) 2013.03.03
일제강점기의 교명 변경  (0) 2013.03.01
일제강점기 개교 과정  (0) 2013.01.24
도천초등학교 연혁  (0) 2013.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