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 15(진해대화재) ■ 진해대화재 사망자의 임시화장 ▪ 수정할 자료 진해만요새사령부 ~ 끝 → 육군기념일을 맞아 진해만요새사령부의 군용창고(전 무도장)에서 활동사진 관람 중 발생한 화재로 사망한 107명(조선인 1명)의 시신을 임시화장하였던 대야동(일본면 渡佛山) 뒷산의 노천화장 모습 (출처) 박..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7.08.26
1930년 2(진해사건) (111면) ■ 진해사건 개요(주128) (주128) 출전 : 동아일보 1930년 3월 12일, 13일, 15일, 17일, 11월 29일 기사, 중외일보 4월 6일, 18일, 21일, 26일,기사. 이상 출처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및 昭和一桁生まれの「ひとりごと」/[101]知らなかった事件簿(2)映画火災で大惨事(2007.7.11.飯田昭一), .. 학교사/- 실록(1911-2015) 2016.06.19
군항마을(2014) 11(군장마크) 군인들이 제복에 부착하였던 표식을 군장마크라 이야기합니다. ■ 1층 동편전시실 북동모서리의 모습입니다. 군장마크 외에 수병복과 교실에서 음악시간에 연주하였던 올갠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북쪽에는 1926년 준공하였던 진해기념탑(진해해전기념탑, 러일승전기념탑) 사진이 있습니..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5.04.27
진해사건 6 (민담) 오늘은 진해사건의 제6화로 진해사건과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를 올립니다. 흔히 부엉산 산신령의 문노, 또는 부엉산 산신령의 노여움으로 불려온 본 이야기는 당시 일본인들의 침탈로 핍박받던 조선인들의 어려운 생활상과 맞물리면서 조선의 지식인에 의해 만들어진 설화로 보이.. 학교사/도천초등학교 2013.07.27
진해사건 5 (사안처리 및 영향) 오늘은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진해심상고등소학교의 사안처리 과정과 본 사건의 영향을 살펴봅니다. ■ 진해심상고등소학교의 연혁지에 일자별로 기록되어 있는 1년간의 내용들을 모았습니다. 1930년 3월 10일 육군기념일 講話(강화). 오전 9시 曾野(증야) 헌병분대장. 요새 병기 견학 중 2.. 학교사/도천초등학교 2013.07.24
진해사건 4 (처벌과 보상) 오늘은 화재사건에 연루된 일본인 피의자들의 처벌 등에 대하여 살펴봅니다. ■ 먼저 사건 피의자들의 처벌 수위에 대한 국내외 기록들을 종합하였습니다. 직접책임자로 화재 후 충격으로 인사불성이 된 진해요새사령부 부관 고기(高觭) 대좌 군조는 3월 17일 아침에 정신이 든 후 화.. 학교사/도천초등학교 2013.07.23
진해사건 3 (조선인) 진해사건으로 사망한 조선인은 최초 보도에서 4명으로 나왔습니다. 이는 조선인과 함께 활동사진을 보러 간 세 사람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며 조선인은 1명이었습니다. 오늘은 이 조선인에 대하여 심층분석합니다. 육군기념일을 맞아서 활동사진을 보여주는 무도장에는 일본인들만 입장.. 학교사/도천초등학교 2013.07.22
진해사건 2 (사망자수) 진해사건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정리할 과제들을 살펴봅니다. ■ 기사에서 보이지 않는 글자는 무엇인가? ■ 사망자와 부상자는 몇 명이었나? ■ 학생을 포함한 사망자의 분포는 어떻게 되는가? ■ 조선인 사망자는 몇 명이었고, 명단에 포함된 이유는 무엇일까? ■ 사건에 연루된 일본인 .. 학교사/도천초등학교 2013.07.21
진해사건 1 (보도자료) 오늘부터 수회에 걸쳐 1930년 3월 10일 진해 육군요새사렴부 영내에서 발생하였던 진해사건에 대하여 심층분석해 봅니다. 일본의 중앙지에 보도가 되었고, 107명의 사망자 발생으로 당시 세계 4대화재에 이름을 올린 대사건이었습니다만 현재까지 사건을 기록한 도서나 WEB에 나타난 내용들.. 학교사/도천초등학교 2013.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