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방 6(장옥,진해우체국,제황산) <11> 일본인 장옥거리 1920년대의 장옥거리 주변 ▲ 묘락좌(妙樂座 극장) ▲ 장옥거리 1) 1910년 4월 해군임시건축지부에서 진해시가를 설계하였고 1911년 4월과 11월의 1, 2차에 걸친 토지 임대 후 시가 대부분이 장옥으로 건축되었다. 2) 장옥은 1층은 점포, 2층은 거주공간의 형태로 만들어.. 진해실록/- 근대사보전회 2018.04.08
개인의 족적 9-1 이미지의 벽 ■ 서편 전시관에서 출(입)구로 나오는 통로의 전시관 전경입니다. 『개인의 족적 9-1 이미지의 벽』으로 팜플렛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지난해부터 진행된 진해탑 외부 정비와 박물관 전면개수 및 준공 등에 참여한 진해구민들의 면면을 영상으로 엮었습니다. ■ 탑의 1층에서 3층 전망대.. 진해실록/진해박물관 2016.06.17
도입부 1-1 추상의 벽 오늘부터 진해박물관의 내부를 소개드립니다. 진해박물관은 내부 조성작업이 늦어져서 개관일인 2016년 4월 1일(군항제 개막일) 오후 3시경에야 어렵게 문을 열 수 있었습니다. 부산과 창원에 사무실을 둔 아인디자인에서 진열품의 선정, 구입과 배치 등 일체를 맡아 진행하였습니다. 전시.. 진해실록/진해박물관 2016.05.09
진해박물관 17 (고기잡이) 진해는 남쪽과 서쪽 해안이 바다를 접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고장의 고기잡이에 대하여 모형을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고장의 특산물에는 피조개와 대구, 멸치 등이 있습니다.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일종의 정치망인 죽방염과 멸치틀망을 이용한 어업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굵은 동앗.. 진해실록/진해박물관 2013.06.30
진해박물관 16 (연도여자장례) 오늘은 진해의 민속 중 하나인 연도여자장례에 대하여 살펴봅니다. 전에는 연도여자상여놀이로 불리었습니다. 속천항에서 배를 타고 30분 정도 가면 연도라는 섬에 닿습니다. 옛날 연도에서는 남자들이 먼 바다로 고기잡이를 나갔을 때 마을에 상이 나면 활동할 수 있는 남자들이 없어서.. 진해실록/진해박물관 2013.06.29
진해박물관 15 (세스베데스) 그레고리오 데 세스베데스 신부(1551-1611년)는 스웨덴 사람으로 임진왜란 중인 1593년에 우리 고장 웅천에 상륙하여 일본군을 대상으로 포교 활동을 하였습니다. 역사 속에서 김수로대왕의 부인이었던 허황옥 황후가 최초의 외국인이었다면 세스베데스는 조선시대에 우리나라에 최초로 들.. 진해실록/진해박물관 2013.06.28
진해박물관 14 (제포유적) 제포는 조선시대에 우리 지역의 조운을 담당한 곳으로 외국에 최초로 통상을 열었던 삼포 개항지 중 한 포구입니다.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설치한 제포진성이 있습니다. 또한 왜인들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왜관, 연목, 제덕토성도 함께 설치하였습니다. 바다 가운데의 목책이 .. 진해실록/진해박물관 2013.06.27
진해박물관 13 (임진왜란의 무기)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이 왜군에 맞서 사용한 무기에는 활과 화살, 총통(대포), 비격진천뢰(포탄), 화차, 조총 등이 있었습니다. 활과 화살, 조총은 육전과 수전(해전)에 모두 사용하였고, 총통은 수전(해전), 비격진천뢰와 화차는 육전에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 중완구와 비격진천뢰 ■ .. 진해실록/진해박물관 2013.06.26
진해박물관 12 (임진왜란) 진해에는 임진왜란 관련 유적이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임진왜란의 개요에 대하여 살펴봅니다. ■ 임진왜란의 개요와 일본군 침공로 ■ 중요 해전지와 해진도 ■ 충무공이 통신용으로 이용하였던 신호연 어제는 종일 가는 장마비가 오락가락 하였습니다. 새벽에 밭에 올라가니 고무마를.. 진해실록/진해박물관 2013.06.24
진해박물관 11 (웅천읍성) 진해박물관의 전시자료 중에 고려시대의 유적과 유물 관련자료가 없기 때문에 조선시대로 건너뜁니다. 웅천읍성은 왜구의 침입으로부터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세종대왕때부터 축성을 시작하였습니다. 여러 건물 중 동헌은 현재 진해예술촌, 객사는 웅천초등학교의 자리에 위치하였.. 진해실록/진해박물관 2013.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