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 13(진해우체국) ■ 13. 진해우체국 ▪ 수정할 자료 1912년 준공된 1층 목조건물로 ~ 까닭이라고 한다. → 1912년 준공된 1층 목조건물로 우편환, 저금, 전기통신 업무를 취급하던 건물로 건축 양식은 러시아풍이다. 주1) 러시아공사관이 이곳에 있었다는 기록은 청사의 건축양식에서 비롯된 오류입니다. 러..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7.08.24
오류 12(팔각정, 원해루)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의 서편에 있는 사진입니다. ■ 12. 과거와 현재(팔각정, 원해루) ▪ 수정할 자료 1) 팔각정 → 육각집 ▶ 참고자료 ① 국어사전 : 팔각-집(八角-) 지붕이 여덟 모로 된 집 팔각-당(八角堂) 팔각형으로 세운 불당 ② 일본측 자료 : 櫻陰 제17호(1973)에 六角堂으..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7.08.23
오류 11(안민터널 화재) ■ 11. 안민터널 화재 ▪ 수정할 내용 화재현장 창원에서 안민터널 안으로 운행 중 불타버린 기차를 경화역에서 정리하는 모습(1926) → 창원역에서 진해역으로 운행하던 여객화물혼합열차가 장복산터널(長福隧道)을 통과 중 뒷편의 목탄을 적재한 무개차(無蓋車)에서 발생한 화재로 소..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7.08.22
오류 10(경화역 방면 도로) ■ 1927년대 중앙로에서 경화역 방면 ▪ 수정할 내용 1927년대 → 1950년대 주) 주민들의 복장과 배달 자전거, 중화요리점에서 광복 후의 모습임을 알 수 있습니다 회원들의 의견이 1960년대보다는 1950년대로 모아졌습니다. 도로 오른쪽으로 양조장, 중국집(중화요리점), 사진관의 모습이 ..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7.08.21
오류 9(진해면사무소) ■ 9. 진해면사무소 ▪ 수정할 내용 1926년 ~ 진해면사무소 → 일제의 국민총동원령(1938.4.1.) 직후의 진해읍사무소 「국민정신총동원」이라는 글을 휘장으로 길게 내린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 내용이 틀린 것은 아니고 사진 촬영 때의 시기에는 진해읍사무소였다는 점에 수정이 필..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7.08.20
오류 8(진해역) ■ 8. 진해역 개통 축하 기념식 ▪ 수정할 자료 진해역 개통 축하 기념식모습(1927.4) → 진해역 개통 기념식(1926.11.11.) (출처 ) 박건춘. 진해여자고등학교사 p. 61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7.08.19
오류 7(1920년대 진해면) 진해군항마을역사관의 마스코트라 할 수 있는 1층 서편 벽면의 대형사진에는 많은 오류들이 발견됩니다. ■ 7. 입구 서쪽 벽면 대형사진 ▪ 수정할 자료 1) 1920년대 진해면 → 1912년 10월의 진해면 주) 1910년 10월 25일 진해우편국(현 진해우체국) 준공식 장면이 담겨져 있습니다. ▪ 근..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7.08.18
오류 6(중원로터리) ■ 6. 중원로터리의 변천 ▪ 수정할 자료 1) 1912년 설계되면서 → 1910년 4월 1일부터 해군임시건축지부에 의해 진해군항이 설계되면서 2) 1950년대 느티나무를 식재했으나 → 1960년 느티나무를 식재했으나 (출처) 뉴시스(2007.2.21.) 3) 1970년대 분수대와 시계탑으로 → 1967년 분수대와 시계탑..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7.08.17
오류 3-5(중앙동마을의 역사 2) 진해군항마을역사관의 출입문을 열고 들어가면 오른쪽 벽면에도 「진해 중앙동 마을의 역사」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 3. 입구 오른쪽 벽면 ■ 수정할 자료(띄어쓰기에 유의) 1) 구한 말 ‘진해 군항마을 역사관’이 있는 진해구 중앙동 일대는 ~ 벌판이었다. → 진해군항마을역사관이 ..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7.08.16
오류 2(중앙동마을의 역사 1) ■ 진해군항마을역사관 입구의 출입문에 부착된 「진해 중앙동 마을의 역사」입니다. ■ 수정할 자료 1 1906년 일본은 ~ 방사직교형 시가를 만들었다. 1) 1906년 ~ 강제로 토지를 매수 → 일본은 이 일대를 일본 해군 군항으로 만들기 위해 1907년 강제로 토지를 매수한 뒤 ▪ 근거 자료 1) .. 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2017.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