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포격 4주기 2(북한군 포탄) 오늘은 북한군의 연평도 포격 시 사용하였떤 포탄들을 살펴봅니다. ■ 끝섬전망대 전시관 입구와 전시실 내부의 모습입니다. ■ 천연기념물 잔점박이물범의 박제입니다. ■ 연평 포격 당시에 사용된 북한군의 포탄들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합니다. 사진을 확대하면 포탄의 대강을 파악할.. 조천향교/사는이야기 2014.11.18
연평도포격 4주기 1(끝섬전망대) 11월 23일은 연평도에 대한 북한군의 포격도발이 있은지 4년이 되는 날입니다. 우리 고장이 해군의 요람이며 관련자료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많기 때문에 연재를 기획하였습니다. 본 자료는 백령도의 끝섬전망대와 창원보훈지청 홈페이지 관련자료를 종합하여 보내드립니다. 총 5회로 나누.. 조천향교/사는이야기 2014.11.17
묘제(산신제) 오늘은 진해 행암과 창원 귀곡간의 국도대체우회도로 개설에 의해 이 구간에 들어 있는 분묘 4기 등의 이장에 따른 묘제(산신제)를 지냈습니다. 문중행사에서 나타난 장백산 아래의 박일등 분묘 71, 73, 53과 삼정아파트 뒷편 정자목등에 소재한 76의 네 봉분이 위 도로 개설 구간의 대상입.. 조천향교/문중행사 2014.11.02
선산분묘배치도 2 조상님들의 분묘배치도를 수정하여 다시 올렸습니다. 각 家(가) 대표님들의 의견을 듣고, 이전부터 지금까지 보관하고 있는 문중 족보와 선친께서 제작한 家牒(가첩)의 분묘배치도 2매도 참고하였습니다. ■ 현재 경화동의 잊혀진 지명들을 일부 복원하여 제작한 분묘배치도입니다. 이해.. 조천향교/조천문중 2014.09.27
선산 분묘배치도 1 지난주 8월 24일(일. 음 7월 29일)에는 문중의 선산을 시작으로 진해지역의 분묘에 대한 벌초성묘를 하였습니다. 분묘의 주인인이신 조상님을 바로 알고 벌초와 성묘를 할 수 있도록 하려고 선산의 분모배치도를 제작하였습니다. 분묘배치도와 관련자료는 다음 회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조천향교/조천문중 2014.08.30
문중묘사(2013) 문중묘사사진(2013).pdf 어제(11월 15일)는 밀양박씨행산파진해조천문중의 묘사일이었습니다. 원래는 음력 10월 16일(오늘로 11월 16일)에 봉행하여 왔지만 참석률을 높이기 위하여 수년 전부터 앞선 일요일로 봉행일을 변경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 문중분들도 볼 수 있도록.. 조천향교/문중행사 2013.11.18
벌초성묘(2013) 2013년 9월 7일(토)로 음력은 8월 3일이며 절기로는 서늘해진 기온으로 이슬이 내리기 시작하는 날입니다. 문중 벌초성묘는 문중의 관례대로 한가위(추석)가 속한 첫날인 음력 8월 초하룻날(1일)에 봉행해 왔습니다. 그러다 보니 휴일이 아닌 평일이 대부분 벌초일이 되어 대다수의 청장년층.. 조천향교/문중행사 2013.09.08
제실(준조제)의 봄 모처럼 안민도로를 거쳐 아침 산책을 하고 제실(준조제)에 들렀습니다. 준조제(俊造齊)는 입향조이신 사위[社胃. 자(字) 사준(士俊)] 어른이 진해(정조대왕 당시 웅천현 造皮川里) 조피천리에 정착하였다는 의미로 머리글자 두 자를 합성하여 만든 이름입니다. 지금의 경화동(慶和洞)은 조.. 조천향교/사는이야기 2013.04.14
준조제(俊造齊) 10(내 4 병풍 2) 병풍은 연중 단 한 차례 시제(時祭 묘사)를 지낼 때에만 사용합니다. 외부에 해당하는 바깥쪽의 2폭을 제외하고 10폭에 글씨가 써져 있습니다. 문장의 해설에 해당하는 내용을 처음에 배치하고, 1부터 9까지의 수로 시작하는 글을 넣었습니다. 물론 뜻은 알지 못합니다. 조천향교/준조제 2012.11.29
준조제(俊造齊) 9(내 4 병풍 1) 병풍(화폭)에는 역대 왕조에서 사용한 인장을 중심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사진의 해상도가 조금 떨어져서 우리나라만의 인장인지, 중국의 것이 포함되어 있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敬順王后之寶(경순왕후지보), 大君之寶(대군지보) 외 濬哲之寶(준철지보), 大元師寶(대원사보).. 조천향교/준조제 2012.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