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실록/군항마을역사관

진해군항마을역사관 18(2층 동편)

진해인 2014. 8. 4. 07:21

계단을 따라 2층 전시실로 이동하였습니다.

 

■ 2층 출구에서 바라본 계단의 모습입니다.

 

진해시가를 비롯한 사진들이 보이지만 등과 햇빛의 반사로 촬영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 최대한 각도를 잡아서 찍은 동편의 전경입니다. 과거와 현재라는 주제로 진해시가를 배치하였습니다.

진해중원로, 중원광장 주변의 시가, 상반통의 벚꽃 , 일본해전기념탑이 순서대로 나타납니다.

아래의 액자에는 10월유신기념탑, 웅천사립개통학교 제2회 졸업식, 진해여중의 한내(대천) 건너 동편의 남북도로변, 박정희대통령 내외분의 해군사관학교졸업식 사열 사진이 들어 있습니다.

 

■ 탑의 최초 설계 때에는 진해기념탑으로 불렀고, 준공 후에는 일본해전기념탑, 또는 일본해해전기념탑으로 불렀는데 탑에 있는 동향평팔랑의 글씨에는 일본해해전기념탑으로 나와있습니다. 우리 이름은 동해와 대마해협인데 일본이 승전한 기록을 우리가 광복 후에 러일승전기념탑으로 불렀는데 굳이 이렇게 호칭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1929년 5월 27일 정오에 준공식을 하였습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다음해인 1949년에 탑신부와 탑부가 철거되었고, 나머지 기단부와 상부의 철골은 1967년 제거되었습니다. (도천국민학교 운동회 사진에 나타납니다.)


■ 좀더 확대한 사진이지만 빛으로 인해 사진의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 지금은 그 액자 속 사진들이 무엇인지 기억할 수는 없고 같이 찍은 사진 몇 장을 함께 올립니다.

▷ 해군하사관병집회소라는 안내글이 보입니다.

   최초 명칭은 해군하사졸집회소(1917년 준공)였는데 이름이 바뀌었고, 입구와 내부에 심은 나무들의 크기로 볼 때 1920년대 초기의 사진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 진해 천칠정(川漆酊)으로 현 남원광장의 북서편에 닿아 있는 지역인데, 정시천(征矢川. 지금의 한내-대천)의 다리 위에서 촬영하였습니다. 내 양쪽으로 장옥들이 서 있고, 멀리 육각집(현재 팔각정, 또는 뾰족집으로 호칭)이 보입니다.

 

■ 1층에 있는 스토리가 있는 우리마을 역사 만들기 안내화보인데 누락이 되어 이곳에 올렸습니다.

 

다음 회에는 2층 전시실 남쪽을 안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