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박물관/- 대한제국

정선산학 5(소수)

진해인 2014. 4. 21. 17:15

정선산학 1.pdf

------------------------------------------------

정선산학의 제4편 소수(小數)」를 소개드리겠습니다.

 

■ 소수의 정의를 살펴봅니다.

   소수는 정수에 미만인(한) 것이니 유한소수와 무한소수의 2종이 있음(有함).

   제1유한소수는 10의 만(일만 万)승에 적합하여 끝(말단)이 유한한 것이니 이(이를 此)를 10분의 상(헤아릴 商이라 이름(이를 云)

  10의 만승은 아주 큰수를 뜻하니 나누어 떨어지는 수라는 뜻이 됩니다.

   소수의 명목(名目)은 소수 각 자리의 이름을 뜻합니다.

   소수 첫째자리는 분(分), 소수 둘째자리는 정(整), 소수 셋째자리는 호(毫), 소수 넷째자리는 사(絲) 등으로 나타내었습니다.

   우리가 공부했던 할, 푼, 리, 모는 일본의 명목(자리값 이름)으로 우리의 전통수학과는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정수와 소수가 1열에 같이 있는(혼열한) 한 수를 혼소수라 정의하였습니다.

 

분수의 정의에 이어 분수의 사칙연산(가감승제법)이 소개되어 있고, 이어서 순환소수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 1위역수위의 동숫자가 연속하여 제한이 무한한 소수를 순한소수라 이름하였습니다.

   이어서 분수를 순환소수로, 순환소수를 분수로 만드는(化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순환소수는 사칙연산(가감승제법)이 가능한데 위 내용에 이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단원의 끝부분은 소수를 일정한 자리수까지만 나타내는 소수약제법에 대한 것입니다.

이 내용에 이어 단원의 정리라 할 수 있는 소수잡문48이 있습니다.

 

다음 회에는 「제5편 名數」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정선산학 1.pdf
7.43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