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에 이어 경화초등학교 교가의 제작에 얽힌 비밀을 풀어 봅니다.
광복 후 10년 이내에 진해지역의 교가 제작은 여러 분들이 담당을 하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눈에 띄는 두 축이 있는데 금회에는 그 한 축에 해당하는 김달진님을 조명합니다.
월하 김달진님은 웅동 소사 출신으로 광복 전후 우리나라 문학계의 거목 중 한 분이셨습니다.
1920년 웅동의 계광보통학교를 졸업하였고, 1948년 진해중학교(6년제), 1954년 해군사관학교 출강, 1955년 남면중학교(현 창원남중학교) 2대 교장을 역임하며 학교와 인연을 맺습니다.
이 시기를 전후하여 진해지역을 비롯한 여러 학교의 교가들을 작사합니다.
김달진님에 대한 자세한 활동은 김달진문학관 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웅동초등학교 교가
진해지역(당시 웅동, 웅천지역은 창원군)에서 교가를 작사한 학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교 |
개교(교명변경) |
작사 |
작곡 |
교가 제정일 |
웅동초등학교 광복 후 재개교 |
1932. 9. 1 1945. 9.24 |
김달진 |
김상호 |
|
진해남산초등학교 |
1961. 4. 1 |
김달진 |
김동진 |
|
진해중학교 |
1944. 4. |
김달진 |
권태호 |
1948.10. 5 |
진해고등여학교 진해여자중학교 |
1929. 4.23 1951. 9. 1 |
김달진 |
김준선 |
|
진해남중학교 |
1955. 2.25 |
김달진 |
윤이상 |
|
웅동중학교 |
1952. 4.30 |
김달진 |
제갈삼 |
|
진해고등여학교의 개교일(개교식)을 29일(홈페이지)에서 23일(일제강점기 모든 문서)로 수정하였습니다.
작곡가에서 보듯 김달진님은 음악계와도 폭넓은 교분을 쌓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1948년 진해중학교(6년제)에 부임하면서 교가를 작사하게 되고, 거의 동시기에 진해고등여학교(6년제)의 교가도 작사를 합니다.
그러다 보니 현재 진해중학교와 진해고등학교, 진해여자중학교와 진해여자고등학교의 교가는 교명만 다를 뿐 교가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학교와 인연을 맺으면서 이후 향리인 웅동국민학교와 웅동중학교를 비롯한 진해남산국민학교와 보문중학교(현 진해남중학교)의 교가도 작사를 하였습니다.
위의 표에서 보듯 작곡가는 모두 다르지만 작사는 김달진님 한 분인 것에서 이들 학교의 교가를 연결하는 코드명이 「김달진」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진해여자중학교 교가
그러면 김달진님과 함께 진해지역 교가 제작에 다른 한 축을 담당하였던 분은 어느 분일까요?
다음 회에 이어서 그 코드의 비밀을 풀어보겠습니다.
'학교사 > 경화초등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화 교가에 감춰진 코드 5 (김영필) (0) | 2013.03.16 |
---|---|
경화 교가에 감춰진 코드 4 (이상근) (0) | 2013.03.15 |
경화 교가에 감춰진 코드 2 (삼천만) (0) | 2013.03.13 |
경화 교가에 감춰진 코드 1 (경화초 교가) (0) | 2013.03.12 |
경화초등학교 연혁 오류 수정 (0) | 2013.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