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의 방문자수는 60명입니다.
다섯번째 50명 이상, 2일 연속 50회(60회) 이상이라는 기록을 수립합니다.
블로그가 제자리를 찾았다는 느낌입니다.
오늘은 그 동안 도천초등학교의 일제강점기사 등 관련된 모든 서적에서 출발로 보고 있었던 진해심상고등소학교라는 교명의 기록에 오류는 없었는지 추적합니다.
■ 1917년(대정 6년) 이강한 진해공립심상고등소학교의「학교일람병학년말통계철」표지와 속표지입니다.
일본의 기록방법인 「학교일람병학년말통계철」을 우리의 기록으로 바꾸면 「학교일람급학년말통계철」이 되는데, 지금의 학교일람표철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참고 ▶ 幷(병) → 及(급), 한글로는 「및」이 됩니다.
|
|
일람표의 표지를 넘겨 첫장의 기록을 살펴봅니다.
□ 연혁
1. 연혁개요
명치44년 10월 20일 현동학교조합인가, 득현동심상고등소학교 설치
동 45년 1월 4일 해군진해임시건축지부적 대하인가득가교사
동 10일 개교
동 19일 진해학교조합립진해심상고등소학교 개칭
동 4월 1일 관제개혁 진해공립심상고등소학교 개칭
■ 내용을 정리하여 봅니다.
1911년 10월 20일 현동학교조합 인가, 현동심상고등소학교 설립인가
1912년 1월 4일 해군진해건축지부건물 가교사 임대인가 취득
1912년 1월 10일 현동심상고등소학교 개교
1912년 1월 19일 진해학교조합 설립, 진해심상고등소학교로 교명 변경
1912년 4월 1일 관제개혁으로 진해공립심상고등소학교로 교명 변경
▶ 1911년 10월 20일부터 1912년 3월 31일까지는 학교조합에서 설립한 일종의 사립학교 성격을 가지며,
1912년 4월 1일부터는 관제개혁에 따라 공립학교로 전환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교명 변경 과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1911년 10월 20일 현동심상고등소학교 설립인가 (현동학교조합) → 10월 30일로 수정(조선총독부관보 355호)
1912년 1월 10일 현동심상고등소학교 개교
1912년 1월 19일 진해심상고등소학교로 교명 변경 (진해학교조합) → 3월 8일로 수정(조선총독부관보 457호)
1912년 4월 1일 진해공립심상고등소학교로 교명 변경 (공립 개편)
→ 학교조합이 내부적으로 조합과 학교를 설립한 시기이므로 관보를 기준으로 인가일을 조정하였습니다.
지금까지 도천초등학교의 일제강점기 학교의 설립과 개교, 교명 변경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한 가지 참고할 사항은 『1945년 9월 24일 진해제이공립국민학교 개교 (초대교장 하창수)』로 일본인자녀들에 대한 교육문제와 학교재산 인계 문제로 10월 30일 학교 인수 시까지는 실제로 한국인자녀들을 위한 교육은 경화국민학교에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다는 점입니다.
그렇더라도 9월 24일자로 미군정 하에서 본교에 겸임교장 발령을 내린 것은 일본이 항복하였기 때문에 8월 15일 항복 시점에 일본인 교장의 임기는 자연 소멸되었고, 강탈 당한 교육의 자주권을 회복하기 위한 필연적인 조치로 보아야 합니다.
따라서 이 기간의 학교사는 당연히 본교사에 포함시켜야 하며 학교 인수를 위한 힘든 과정도 우리의 자랑스러운 역사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다음 회부터는 지금까지 발견된 자료들을 기초로 진해중앙초등학교와 덕산초등학교의 연혁 중 광복 후 기록의 오류를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학교사 > 도천초등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표 제작시기 2 (경화초등학교) (0) | 2013.03.21 |
---|---|
교표(校標) 제작 시기 1 (덕산초등학교) (0) | 2013.03.20 |
진해경화공립국민학교도천분교장 개교(1945.10.31) (0) | 2013.03.07 |
개교 전일의 기록 (0) | 2013.03.06 |
역대교장 대수 (0) | 2013.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