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4일에는 방문자수가 58명으로 1일 방문자수로는 세 번째로 50명을 넘었습니다.
본 블로그의 도천초등학교 메뉴 4 「진해도천공립학교로 교명 변경」에서 광복 후 재개교 시 교명이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라는 언급을 한 바 있습니다만 그 확실한 흔적을 찾아 학교연혁지의 개교 전일의 기록을 찾아갑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이 되자 미군정하 학무당국은 9월 17일 一般命令(일반명령) 제4호로써 9월 24일을 기하여 모든 초등학교에 대하여 수업을 시작하도록 지시합니다.1
일본인학교의 경우도 9월 20일까지 인수 절차를 마치라고 하였지만 그리 쉽게 절차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한 달 후인 10월 30일에 인수가 이루어집니다.
본 연혁지에서는 참으로 많은 사실들을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광복 후 한국인학교로 개교할 당시의 교명이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라는 기록, 현 진해중앙초등학교의 광복 후 개교 시 이름이 진해제이공립국민학교, 그 때까지 일본학교조합에서 학교 운영을 담당하였다는 사실, 학교재산 실태 등이 그러한 내용입니다.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장은 이미 일본으로 떠났는지 인계인의 명단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학교연혁지의 첫 두 페이지에 그 내용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
|
광복 직후에도 진해심상고등소학교 때 다량으로 인쇄해 두었던 용지를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단기 4278년(1945년)
9월 28일 진해경화공립국민학교장 하창수씨 본교 겸임교장으로 발령되었음.
10월 30일 겸임교장 하창수씨와 진해경화공립국민학교 훈도 주기영씨는 원 진해학교조합 서기 서촌총차랑(西村惣次郞)과 원 진해제이공립국민학교장 원등문남(遠滕文男)으로부터 원 진해제일국민학교인 본교 교지, 교사, 비품 등을 접수하였음.
교지 4991.25평
강당 1동
교사 3동
변소 4동
소사실, 숙직실 1동
창고 3동
수영장 1
접수 당시의 건물은
교사는 4246년(1913년) 12월 7일 낙성
강당 4267년(1934년) 2월 11일 낙성
수영장 4275년(1942년) 5월 8일 낙성
다음 회에는 본교의 첫 교명이었던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 개교 당일의 숨가빴던 모습을 그려보겠습니다.
- 출처 : 安商元 외 7인. 韓國敎育2000年史 p.325. 韓國靑年文化硏究所. 1983. [본문으로]
'학교사 > 도천초등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동심상고등소학교 개교 (0) | 2013.03.08 |
---|---|
진해경화공립국민학교도천분교장 개교(1945.10.31) (0) | 2013.03.07 |
역대교장 대수 (0) | 2013.03.05 |
학교상징 2 (교표, 교가, 교기) (0) | 2013.03.04 |
학교 상징 1 (교목, 교화) (0) | 201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