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 실록(1911-2015)

교육과정 3(향토지초안)

진해인 2016. 8. 19. 05:45

(209면)

2. 향토지초안(鄕土誌草案)

 

. 교재의 배열 및 선택

1. 교재의 선택 상 특히 유의할 점은 아래와 같다.

1) 지도의 성질을 알고 이에 필요한 재료

2) 직관으로 이룰 수 있고 득이 되는 재료

3) 본보기를 보여 이룰 수 있는 재료

4) 관찰지와 관련하여 중요한 역사자료

5) 관찰지가 지리적 재료와 밀접한 관계가 되는 재료

6) 공민적 재료


2. 교재 배열에 관하여 주의할 점은 아래와 같다.

1) 교장(敎場)은 출발점에서 점차 먼 곳으로 넓힘.

2) 학교를 떠나 관찰이 편리한 환경과 역사적 재료, 이과적 재료가 가까운 곳을 배열


3, 본 세목(細目) 실시 및 교수 상의 제반유의점

1) 교수의 우선은 목적을 이룰 수 있도록 실지답사(實地踏査)로 관찰함.

2) 실지답사와 관련하여 우선 구체적 관찰을 할 수 있는 요점을 정리해 주어야 함.

3) 지형은 지도로서 연락을 취하도록 노력해야 함.

4) 교실에서의 정리는 다음과 같다. 교수할 사항들을 이루도록 요점을 필기해 둠.

5) 본 세목의 교실에서의 정리는 교수사항의 배당과 배열을 실지답사로 본 세목에 기초하여 적이하게 안배함.

6) 본 세목을 본교에서 별도로 정한 것은 교외교세수목(郊外敎細授目) 및 원족방안의 숙고로 편제시키고 실지답사는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시행하되 틈을 내어 관찰해 둠.

7) 본 세목을 실시하여 이루려면 그 구역의 대강 즉, 진해요항지대에 소재하는 것이 위법임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함.


. 교수세목(敎授細目)

향토지 속 교수세목(鄕土誌 屬 敎授細目)

1학기

예정

시수

교 수 사 항

연락사항

교구기타

1

1

1 교실

(1) 교실 실측 평면도 제작

주의, 본 학년 아동 분수 관념.

미터법 축척을 가르침은 당연함.

때에 따라 분수를 사용할 수 있음.

()의 길이를 나눌 때 1(), 1(),

1()으로 가정해 설명함.

 

 

교실 평면도

 

 

 

 

 


(210면)

예정시수

교 수 사 항

연락사항

교구기타

2

1

(2) 교탁 평면도, 측면도 제작

 

교탁 평측면도

3

1

(3) 교단, 교탁, 책걸상, 집선반 배열 및 교실평면도 제작

 

평면도

4

1

2 학교

(1) 학교 교사 평면도 제작

주의, 여기에 속한 교지는 제외

 

교사평면도

5

1

(2) 학교 교사 정면에서 보기, 측면도

주의, 여기에 속한 교문, 흙제방 제외

 

교사측면도

6

1

(3) 교사 및 교지 평면도

 

교지교사평면도

7

1

전주 사항 계속. 주의, 흙제방, 교문, 운동기계 등 기입 요

 

 

8

1

(4) 전주사항 게속. 본시에는 교정 주위의 흙제방, 경사면의 표시는 방향과 일치되게 가르침

 

 

7

1

(5) 경사면 제도

주의, 경사면의 표시는 방위, 즉 지도제작 상의 모우식(毛羽式), 선식(線式), 농염식(濃艶式) 등을 가르침

 

 

10

1

3 학교 연혁대요

(1) 진해아동의 마산학교 통학시대

(2) 진해 유지자의 협의 (3) 학교 창립

 

 

11

1

(4) 구교사시대의 학교

(5) 학교의 발전과 분교장 설치

 

 

12

1

(6) 신교사시대

1. 신교사 건축

2. 분교장 폐쇄와 전부 이전

 

 

13

1

(7) 현재 학교 개황

1. 아동, 직원 2. 학급

3. 경비잔액, 1인교육비 평균

4. 교지, 교사 평수 5. 학교관게자

 

 

14

1

(8) 학교 광영

1. 어영(御影), 칙어등본, 배재(拜載)

2. 교훈, 교풍 3. 아동 각오

 

 

15

1

연습 및 보충

 

 

 

(211면)

2학기

예정

시수

교 수 사 항

연락사항

교구기타

1

1

4 학교 부근

(1) 앵전통과 변천통. 토사, 배수, 수도구

 

 

교실 평면도

2

1

(2) 수교사 (3) 헌병대 (4) 해군관사

 

 

3

1

(5) 학교부근 지도 제작

: 북십 주변, : 수교사, 남북 기준의

지도 제작

 

학교부근도

4

1

전시와 같음

 

 

5

1

전시와 같음

 

 

6

1

5 진해시가

(1) 연혁 대요

 

시가도

7

1

(2) 학교조합

1. 관리자, 평의원 2. 조합, 교권, 조합원

3. 인구와 호수

 

 

8

1

(3) 면과 면역소

1. 면의 성격과 면장

2. 면과 학교조합의 관계

 

 

9

1

(4) 진해 소재 각 관청

1. 경찰서 2. 군부출장소 3. 세관지서

4. 우편국 5. 토목공영소출장소

 

 

10

1

(1) 진해 소재의 은행, 회사

1. 부산상업진해지부 2. 전등회사

3. 재향군인분회 4. 진해소방조

 

 

11

1

6 갑산(甲山) 부근

1. 진해의 위치

2. 지세, , 평야(原野), 논밭(田畑),

시가, 하류

 

 

12

1

3. 갑산 부근 약지도(略地圖) 제작

 

 

13

1

전시와 같음

 

 

14

1

5. 진해신사 6. 기타, 신사불각

 

 

15

1

7 해군

1. 제국해군의 세력 2. 군항

3. 진해요합부의 성질

4. 진해요항부의 수뇌

 

 

16

1

8 진해만요새사령부

1. 요새의 성질과 직능

2. 요새사령과

3. 요항부와 요새

 

 


(212면)

3학기

예정

시수

교 수 사 항

연락사항

교구기타

1

1

9 관음산(觀音山) 부근

1. 정시천(征矢川) 부근의 계곡(), 소천(小川), 하천의 이용, 유역, 산물, 삼림과 우수

 

 

2

1

2. 정시천(征矢川) 부근의 약지도 제작

 

 

3

1

전시와 같음

 

 

4

1

10 경화동 부근

1. 조선인의 풍습과 인정 : 주거, 의복, 식물, 언어의 특성, 장단소(長短所), 관혼상제

2. 일한병합 대요

3. 일본인의 조선인에 대한 태도

 

 

5

1

11 창원군과 경상남도

1. 지도, 독방(讀方), 제기호

2. 도청소재지와 군청소재지

3. 주요 도읍의 위치와 교통 : 부산, 마산,

진주, 통영, 진해, 밀양, 삼랑진

4. 중요 물산

 

경상남도지도

창원군도

6

1

12 웅천 부근

1. 수원지 2. 웅천성지, 진해 부근 성지

 

 

7

1

13 문록경장(文䘵慶長)의 역()과 진해만

(1) 부근 전적

1. 안골포전 2. 거제도전

 

 

8

1

3. 견내량전 4. 한산도전

 

 

9

1

14 일본해전과 진해만

1. 동경(東鄕) 대장과 일본해전의 대요

 

 

10

1

15 바다()

1. 바다의 만

2. 바다의 도회(都會)

3. 해수의 성질과 효용, 해안선

 

 


(213면)

1학기 제1-6주 교구, 기타

 

참고자료 : 졸업증서(卒業證書)와 학무위원촉탁증(學務委員囑託證)



향토지초안은 지금의 지역화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국내에 아직 소개된 적이 없는 아주 귀중한 교육자료입니다.

자료를 인용할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학교사 > - 실록(1911-20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해공업보습학교 1(연혁)  (0) 2016.08.23
교육과정 4(학교일람)  (0) 2016.08.22
교육과정 2(훈육,양호)  (0) 2016.08.18
교육과정 1(교수 노력점)  (0) 2016.08.17
학교현황 4(졸업생,감독관)  (0) 2016.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