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면)
■ 진해사건 개요(주128)
(주128) 출전 : 동아일보 1930년 3월 12일, 13일, 15일, 17일, 11월 29일 기사, 중외일보 4월 6일, 18일, 21일, 26일,기사. 이상 출처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및 昭和一桁生まれの「ひとりごと」/[101]知らなかった事件簿(2)映画火災で大惨事(2007.7.11.飯田昭一), http://kangaeru.s59.xrea.com/少年犯罪データベース 戦前の少年犯罪(管賀江留郎 (著) 내용을 요약하였다. 당시 진해 인구는 15,252명이었고, 해군은 일본인 4,875명의 1/3 정도 되었다.
출처 : 釜山でお昼を/鎮海の主要建造物(戦前, 2003년도의 진해시 지도에서 편집하였다.
Daum 블로그 tour of wind/군산근대역사박물관(2012.8.22 하늬바람) ▲
3월 10일 오후 2시 40분경 진해 요새사령부에서 러일간의 봉천전투 승전 25주년 기념 육군기념일의 여흥으로 마련한 내목(乃木) 대장의 행적을 촬영한 영화를 요새사령부 창고(전 무도장(武道場), 당시 군용창고)에서 영사할 때에 풀린 필름을 다시 감는 동안에 전기의 차단장치를 내리지 않아 영사기계장치의 필름에 불이 붙기 시작하였다.
영사대와 천정을 거쳐 창고 전부에 옮겨 붙어 그 안에서 구경하던 약 120여명 중 20여명만 겨우 대피하였다.
미처 대피하지 못한 진해심상고등소학교 생도 57명(진해심상고등소학교연혁지 기준), 경화심상소학교 생도 24명, 진해고등여학교 생도 1명, 기타 부녀자 4명, 아동 21명 등 총 107명(그 중 조선 아동 1명)이 무참히 소사(燒死)하였다. 피난한 20여명 중에도 중상자 5명, 경상자 2명이 발생하였다. 건물 피해는 약 2,000엔으로 추산되었다.
사망자의 시체 중 4명은 신상을 판명하지 못한 참사였다.
● 참사 원인
1. 관리 소홀 : 기념식 후 어른들은 축하연에 참석하고 소학생들은 임의로 구경을 하 였고, 영사장소는 64평의 목조기와 건물로 목공장 겸 연무장으로 사용하던 곳이었는 데 출입문이 1개소뿐이었다.
2. 담당기사 부재 : 요항부의 지기(志觭) 조장이 주임이었는데 담당기사가 없어서 석 부(石部) 군조가 민간기사와 영사기를 돌리다가 전기불이 당겨져 닿아 발화하였다.
3. 대비 소홀 : 근처에 물이 없었고, 격금장(擊琴場)에 모여 있던 소방조원들이 사령 조원과 함께 소화전을 사용한 소화를 시도하였으나 수압이 낮아 효과를 보지 못하였 다. 단야(鍛冶)공장을 제외한 남쪽 건물이 모두 불에 탔고 50분만인 3시 30분에 진화되었다.
(112면)
● 사망 아동의 보호자 신분 : 대부분 군인의 자녀
사망자는 대개 요새사령부와 요항사령부 소속 군인 자녀로 헌병분대장 증야(曾野) 소좌의 장녀, 재향군인분회장 편야(片野) 소좌의 장남과 차남, 등전(藤田) 해군 소좌 의 장남, 소림(小林) 해군기관 소좌의 여식도 있으며, 소화동(昭和洞) 기화모(磯和某) 의 삼형제, 산취정(山吹町) 좌좌목(佐佐木)의 아내와 아들 2명, 형제자매가 동시에 사망한 경우가 10여조였다.
● 조선인 사망자 1명(경화동 朴二植의 2녀 朴點伊(14세)
진해시가 일본인 과자점 상천(相川)에서 1928년부터 아이를 돌봐주는 일(고용살 이), 주인집 아이 1명은 업고, 2명은 데리고 가서 구경하다 4명이 모두 사망하였다.
● 사건 수습
1. 참보를 들은 총독부에서는 무부(武部) 학무국장과 고교(高橋) 시학관, 경무부 백석 (白石) 경무관, 사원(寺垣), 원(原)의 두 어용계, 조선군사령부에서는 참모장 이하 수 십명이 10일 밤차로 현장에 출동하였다.
2. 12일 오후 3시 총독부 학무국장실에서 각 신문사, 통신사 대표자들과 금촌(今村) 내무부장과 신미(神尾) 학무과장 등이 조위책(조위금모집요항)을 발표하였다.
1) 주최 : 조선교육회, 애국부인회조선본부, 조선 내 각 일간신문
2) 금액 : 수의(隨意)
3) 수부(受付) 장소 : 조선교육회, 각도교육회, 각부군도교육회, 애국부인회조선본부 및 각도지부 및 각부군도위원부
4) 기간(締切) 및 조위방법 : 1930년 4월 30일까지 주최자에게 일임
5) 모집금액은 각도 및 부로부터 관내 각 신문지에 발표
● 책임자 처벌
1. 진해요새사령부 부관 고교(高橋/高觭 ?) 대좌 군조 벌금 400원
2. 책임자 지기(志觭) 벌금 100원, 석부(石部)에게 800원을 구형
● 유족의 소송
1. 소사학생의 일부 유족이 당국의 이 사건에 대한 처치에 불만을 품고 궁천달지조(宮川達之助) 외 20명이 11월 25일 육군대신을 상대로 77,000여원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동경지방재판소에 제기하였다.
2. 1933년 4월 12일 일본 육군의 만주 침략전쟁에 따른 비상시국으로 소송을 취하하였다.
(113면)
● 진해공립심상고등소학교의 사안 처리 및 사망자 통계 분석(주129)
(주129) 진해공립심상고등소학교의 연혁지와 재적부 기록을 참고하였다.
1. 학교의 사안 처리
1930년 3월 10일 2시 40분 椿事(춘사) 일어남. 사망자 107명(본교 아동 57명), 중상자 5명.
3월 14일 교정에서 합동장례식 (오후 2시)
3월 16일 직원 일동 조난아동 불전 예배. 오후 1시~8시 반 각 가정 방문
3월 17일 수업 개시, 유족 다수 애찰(挨拶)하며 내교
3월 18일 요새사령부 오후 1시 추도회. 직원 및 심상과 4학년 이상. 3학년 이하는 대표 참열(參列)
3월 19일 예장(禮狀) 발송
3월 24일 졸업수업증서 수여식. 제등(齊藤) 총독 조위 위해 내진. (오후 3시 반 교정에서 추도회)
3월 28일 오후 4시 교정에서 罹災者(이재자)에 하사금 전달식
4월 28일 오후 2시 본교 교정에서 3월 10일 조난자 50일제
6월 16일 덕환관음(德丸觀音) 경내에서 백일법요 (오후 5시 고등과생 총대 참열
8월 5일 아동 소집. 추도호(追悼号) 아동 배포
8월 14일 오전 8시 반. 조난자 유족 추도호를 영전에 바침 (직원 5명 조문)
8월 15일 오전 10시 덕환관음에서 요항,요새사령관 시주 조난자 영 공양.
직원과 고등과 1, 2학년. 심상과 6학년 남, 여 식 참열
1931년 3월 10일 작년 진해사건 조난자 1주기 합동 법요에 참가
3월 11일 오후 1시 반, 1주기 직원일동 각 가정 방문 참배
2. 진해공립심상고등소학교의 사망자 통계 분석
구분 | 1929년 4월 1일 (시업식) |
| 1930년 4월 1일 (시업식) | 비교 | |||||
학년 | 남 | 여 | 계 | 학년 | 남 | 여 | 계 | 증감 | |
심상과 | 1 | 58 | 54 | 112 | 2 | 56 | 52 | 108 | ▼ 4 |
2 | 47 | 56 | 103 | 3 | 41 | 55 | 96 | ▼ 7 | |
3 | 54 | 33 | 87 | 4 | 46 | 34 | 80 | ▼ 7 | |
4 | 84 | 64 | 112 | 5 | 44 | 56 | 100 | ▼12 | |
5 | 41 | 41 | 82 | 6 | 46 | 26 | 72 | ▼10 | |
6 | 44 | 47 | 91 | 졸업생 | 41 | 48 | 89 | ▼ 2 | |
고등과 | 1 | 25 | 28 | 53 | 2 | 26 | 22 | 48 | ▼ 5 |
2 | 26 | 19 | 45 | 졸업생 | 21 | 17 | 38 | ▼ 7 | |
계 | 379 | 342 | 685 |
| 321 | 310 | 631 | ▼54 |
※ 1. 학교연혁지의 사망자수 57명과 3명의 차가 있으나 거의 일치하며, 중도입퇴학자에 의한 증감으로 본다.
2. 고등과는 입학시험으로 신입생을 모집하므로 심상과 졸업생수와 고등과 1학년의 아동수 와는 관련이 없다.
(114면)
■ 사망자 운구 임시화장 및 합동장례식 사진(주130)
(주130) 출처(1, 3) : 매일신보(1930.3.13.) 출전 디브러리(국립중앙도서관 지식정보 통합검색. 사진출처(2) : 군항마을역사관. 대야동 뒷산에서 가화장을 한 후 조천리의 진해화장장에서 화장을 하였다.
본 자료를 인용할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학교사 > - 실록(1911-20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31년 (0) | 2016.06.23 |
---|---|
1930년 3(진해읍사무소) (0) | 2016.06.20 |
1930년 1(연혁) (0) | 2016.06.18 |
1929년 (0) | 2016.04.16 |
1928년 2 (0) | 2016.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