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면)
1월 10일 교가 천자봉(天子峰) 제정. 작가(作歌) 원 본교 훈도 도원중학(島原中學) 교유 고호(尻浩)
작곡(作曲) 육군호산(戶山)학교군악대악장 십국일(辻國一)
1월 11일 기원절 배하식 후 6남, 여 각 1명 포상 수여
3월 5일 길전(吉田) 시학위원 내교. 창가(唱歌) 실지수업 모범교수 강평. 심상과 2녀 주정(酒井), 심상과 2남 증전(增田), 진해보통학교 하삼전(河杉田)
3월 6일 지구절. 봉축창가회(오후 1시)
3월 15일 수등(須藤) 지사 순시
4월 15일 남면에서 발굴한 석기 견학(경찰서 진열, 심상과 4학년 이상)
5월 27일 기념탑 낙성식. 신사참배 및 봉축 기행렬
5월 28일 아동 4명 성홍열 경찰에 통지
5월 29일 전 아동 건강진단
6월 8일 성홍열 예방주사 건으로 보호자회역원회 개최
6월 10일 성홍열예방주사신청서 배포
6월 11일 도에서 출장 예방접종
7월 6일 뢰천(瀨川) 시종무관 내진, 삼하 교장, 고등과 2학년 남학생 제등만 출영
9월 5일 구류도(久留島) 무언(武彦)씨 강연. 오전 11시 심상과 4학년 이상
10월 2일 신궁식, 연료궁(年遷宮) 봉배식. 오전 8시 교정
10월 14일 개원궁(開院宮) 왕자 내진. 오전 8시 15분 직원, 아동 현동잔교 출영, 오후 3시 반 퇴진(退鎭) 동 장소 봉송
11월 9일 무전(武田) 시학 내교 시찰
12월 29일 길촌(吉村) 창원군수 신임 애찰(挨拶) 내교
1920년대 후반의 진해시가(주124) |
(주124) 출전 : 京城朝鮮敎育會編. 국정교과서に현はれた及朝鮮資料寫眞. 1929. 출처 : 1. 한동수 교수 운영 ‘한양대동아시아역사연구실’. 2. Daum 카페/걸어서 만나는 도시이야기/탐방후기(2011.10.3.)에서 인용한 것을 재인용하였다. 해군운동장과 남서편 저수지의 조성된 모습에서 사진의 제작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108면)
■ 창원군 진해면의 조선인 교육기관(1928.12.15. 현재)(주125)
(주125) (출전) 동아일보 1929.1.15 (출처) NAVER 뉴스라이브러리. 십년일람(十年一覽) 기십삼(其十三) 연재 기사. 세계 개조 후 십년간의 조선문화 발달상황을 사실에 징(徵)하야 표시코자 전 조선의 동아일보 본사와 각지분국의 총동원으로 1919년(대정 8년) 이후 소화 3년(1928년) 12월 15일 현재의 교육기관, 경제단체, 사회단체 등을 조사한 것이라고 적고 있다. 동아일보 1927.11.10의 기사와는 판독과정의 오류 등으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교 설립과 관련하여 4월은 설치인가월로 추정할 수 있으며, 개교는 학교기록에 따라 6월로 수정하였다.)
기 관 명 | 설립일 | 설립자 | 생 도 수 | 교 원 | 대 표 | |
설립시 | 현재 | |||||
봉산강습소 (鳳山講習所) | 1911. 4 | 李起宅 | 4 | 4 | 2 | 소장 이기택 |
대정야학(大井夜學) | 1915. 4 | 文成斗 | 3 | 2 | 1 | 학장 文正鑵 |
진해공립보통학교 (鎭海公立普通學校) | 1920. 6 |
| 4 | 54 | 7 | 교장 신원순오 (榊原純吾) |
자교학원(慈校學園) | 1924. 5 | 旭實松 | 4 | 4 | 2 | 원장 욱실송 |
석리야학(石里夜學) | 1919. 9 | 裵孝民 | 1□□ | 1□□ | 4 | 학장 金種煥 |
경화동불교야학 (慶和洞佛敎夜學) | 1925. 4 | 李敬玉 | 4 | 4 | 2 | 학장 이경옥 |
경화동야학 (慶和洞夜學) | 1919. 9 | 金秉玉 | 3□□ | 1□□ | 3 | 학장 김병옥 |
1. 창원군 진해면과 웅천, 웅동지구의 교육기관 중 진해면만 기록하였다. 2. □은 내용 확인이 어려운 부분이다. 3. 봉산강습소는 비봉야학회, 경화동야학은 경화동노동야학회(1922년 참고)를 계승한 교육 기관이며, 경화동불교야학은 진해여자야학회(p.93 참고)에서 개설한 야학이다. |
■ 행암서당(行岩書堂)(주126)
1. 설립자 이기영(李基榮 1883-1955). 경주 이씨 35대손. 호 국사(菊史), 자 장현(章現)
2. 위치 : 창원군 진해면 행암리 163-1
3. 설립 시기 : 1912년 9월 추정
4. 교과목 : 국어(國語), 한문(漢文), 수학(數學),역사(歷史) 등
5. 수학생 : 이무영(李茂領 1917.11.27- . 전 시의원), 姜永模(전 진해읍장), 禹容述(전 진해부읍장), 洪承洵(전 울산시장), 정계수(전 의령군수), 白東俊(전 진해시의원), 정판식(전 진해시의원) 등
(주126) 출처 : 경상남도진해교육청. 진해교육사 p.92, 108, 111. 경상남도진해교육청. 2009. 설립시기를 1906년-1910년으로 기록(추정)하였으나, 덕산리 사립대정학교의 경화동 이전 시기인 1912년 9월로 수정하였다.
(109면)
■ 진해기념탑(鎭海記念塔, 일본해전기념탑)(주127)
1905년 진해만에서 있었던 러일해전을 기념하기 위하여 일본 국민의 기부로 철근콘크리트로 된 기념탑을 두산(兜山. 현 제황산)의 정상(높이 90m)에 건립하였다.
러일해전 전승기념탑의 형상은 러일해전 당시의 전함인 삼립(三笠)의 사령탑 모양을 본 떴으며 공사비 82,000여원(圓)을 들여서 1929년 5월 27일 정오에 준공식을 하였다.
산정에 육지의 등대 모양으로 솟았으며 동쪽에는 일본해전 관련 사진과 그림, 참고품 등을 전시한 기념관이 있었다.
(주127) 출처 : 김인수. 앞의 책 p.78 및 朝鮮総督府鉄道局 編. 朝鮮旅行案内記 p.195. 朝鮮総督府鉄道局. 1934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였다. 준공일자는 진해심상고등소학교 연혁지 기록을 참고 하였다. 설계도에는 진해기념탑, 대부분의 일본 도서에는 일본해전기념탑으로 소개되어 있고, 국내 기록에는 러일전쟁승전탑으로 소개되어 있다.
▲ 출전: 부산일보(1929.5.28.) | 삼립함(三笠艦) 출처 : 三笠(みかさ)こども ページ/記念艦として保存 | 출처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진해기념탑신설공사설계도 (철근상세도) |
출처: 第255回 日文研フォーラム 東アジア近代史における「記憶と記念」p.12
▲ 출처(사진) : OhmyNews 블로그/역사를 찾아/진해탑의 현재와 과거(2009.1.20. 태허),
출처 : http://closedsearch.auctions.yahoo.co.jp/closedsearch/日本海海戦 ▲
자료를 인용할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다음 주에는 진해군항마을역사관의 2층 미탑재분과 2016년도 근대사사진전시회 자료들을 소개드리겠습니다.
'학교사 > - 실록(1911-20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30년 2(진해사건) (0) | 2016.06.19 |
---|---|
1930년 1(연혁) (0) | 2016.06.18 |
1928년 2 (0) | 2016.04.15 |
1928년 1 (0) | 2016.04.08 |
1927년 2 (0) | 2016.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