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 실록(1911-2015)

1912년 2

진해인 2016. 2. 29. 07:04

(41면)

일본 해군의 세력

전국 연안 및 해부(海部)를 해군구(海軍區)로 나누었다. 각 해군구에는 진수부(鎭守府)를 설치하고, 군함에 분속(分屬)으로 진수(鎭守)와 수뢰단(水雷團) 등의 설비를 하였다.

1해군구는 본도(혼슈)의 동해안, 2해군구는 일본의 남부해안을 담당하였고, 3해군구는 규슈(九州)의 서해안에서 남으로 이어진 제군도와 대만(臺灣)을 담당하였는데 진수부와 좌세보(佐世保)를 소관으로 두었다.

4해군구는 본도의 서해안을 담당하였다.

5해군구는 대마도와 조선의 해안과 해면을 담당하였다. 소관으로는 진수부를 두었고 필요에 따라 좌세보도 소관으로 두었으며, 구내요항부는 진해(鎭海)에 두었다. 관동주해군구는 관동주해군면(關東州海軍面)에 두었는데 여순요항부(旅順要港部)를 소관으로 두었다.

. 군함 65

1. 전함(戰艦) 13

안예(安藝), 살마(薩摩), 록도(廘島), 향취(香取), 조일(祖日), 삼립(三笠), 굉도(敷島), 비전(肥前), 하내(河內), 이진(欇津), 부상삼(扶桑), 산성(山城), 이세(伊勢)


(42면)

2. 순양전함(巡洋戰艦) 8

안마(鞍馬), 이취(伊吹),공파(筇波), 생구(生駒), 비예(比叡), 금강(金剛), 진명(榛名), 로도(露島)

3. 1등순양함 9

반수(盤手), 출운(出雲), 상반(常磐), 천간(淺間), 팔운(八雲), 오처(吾妻), 춘일(春日), 일진(日進), 아소(阿蘇)

4. 2등순양함 11

천세(千歲), 이근(利根). 공마(筇摩), 시인(矢紖), 평호(平戶), 진경(津輕), 신고(新高), 대마(對馬), 음우(音羽), 명석(明石), 수마(須摩)

5. 1등해방함(海防艦) 3척 부사(富士), 주방(周防), 석견(石見)

6. 2등해방함(海防艦) 13

고립(藁立), 엄도(嚴島), 추진주(秋津州), 견도(見島), 충도(沖島), 무장(武藏), 대화(大和), 송강(松江), 만주(滿洲), 한기(韓崎), 천대전(千代田), 구교(駒橋), 약궁(若宮)

7. 1등포함(砲艦) 3척 천조(千早), 최상(最上), ()

8. 2등포함 5척 우함(宇沼), 복견(伏見), 우전(隅田), 조우(鳥羽), 차아(嵯峨)

. 구축함(驅逐艦) 67

1, 1등구축함

천진풍(天津風), 시진풍(時津風), 기풍(磯風), 빈풍(濱風), 해풍(海風), 산풍(山風), 포풍(浦風), 강풍(江風)

2. 2등구축함

(), (), (), (), (), (), (), (), (), (), (), (), (), (), ()

3. 3등구축함

총운(叢雲), (), 석부(夕霧), 불지화(不知火), 양염(陽炎), 부운(簿雲), (), 백운(白雲), 조조(朝潮), 촌량(村兩)

4. 4등구축함

조무(朝霧), 유명(有明), 취운(取雲), (), 신풍(神風), 초상(初霜), 미생(彌生), 여월(如月), 백로(白露), 백설(白雪), 송풍(松風), 조풍(朝風), 춘풍(春風), 시풍(時風), 질풍(疾風), 추풍(追風), 석풍(夕風), 석모(夕暮), 석립(夕立), 삼일월(三日月), 야분(野分), (), 자일(子日), 향음(鄕音), 초춘(初春), 약엽(若葉), 초설(初雪), 앙월(卬月), 수무월(水無月), 장월(長月), 국월(菊月), 포파(浦波), 기파(磯波), 완파(緩波)

. 수뢰정(水雷艇) 24

. 잠수정(潛水艇) 16

총계 172, 670,000여톤

[향토지초안(鄕土誌草案) pp.81-88의 제7 해군 요약]


다음 회에는 1913년의 연혁을 소개드리겠습니다.

자료 인용 시에는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학교사 > - 실록(1911-20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13년 2  (0) 2016.03.03
1913년 1  (0) 2016.03.02
1912년 1  (0) 2016.02.25
1911년 2  (0) 2016.02.24
1911년 1  (0) 2016.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