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박물관 (599면) 18. 교과서박물관 ※ 교과서 목록과 출판정보는 생략하고 일부 도서의 이미지만 올립니다. 1. 조선시대 및 대한제국시대 동몽선습 천자문 아희원람 학교체조교수서 (560면) 2. 일제강점기 초학요선 도화임본 통학경편 (601면) 3. 광복 이후 1960년까지 초등조선력사 국어 6-1 우리나라의 .. 학교사/- 실록(1911-2015) 2019.03.25
초등셈본(5-1) 10 본책의 마지막 두 주제를 살펴봅니다. 셈연습과 여러 가지 문제로 학기 총정리로 볼 수 있습니다. ■ 제27주제는「셈연습」입니다. 그 동안 공부하였던 사칙연산을 복습하는 과정입니다. ■ 제28주제는「여러 가지 문제」입니다. 들이를 용적, 절약을 절용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우리들이 .. 교과서박물관/- 1945년대 2015.03.31
초등셈본(5-1) 9 초등셈본 제25-26주제를 살펴봅니다. ■ 제25주제는 지난 주제에 이어 「수판셈(2)」입니다. 수판셈 1에서는 여러 자리의 수를 한 자리의 수로만 곱하거나 나누었습니다. 이번 주제에서는 여러 자리의 수를 두 자리의 수로 곱하거난 나누는 공부를 합니다. 또 수판의 하단과 상단을 모두 사.. 교과서박물관/- 1945년대 2015.03.30
초등셈본(5-1) 8 오늘 살펴볼 과정은 제23-24주제입니다. ■ 제23주제는 지금은 학원이나 방과후학교 강좌에서나 볼 수 있는「수판셈(1)」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수판의 하단만으로 구성하였습니다. ■ 제24주제는 「여러 가지 문제」입니다. 평균이라는 말 대신에 고른수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습니다... 교과서박물관/- 1945년대 2015.03.27
초등셈본(5-1) 6 초등 셈본 5-1의 제16-18주제를 살펴봅니다. ■ 제16주제는 「작은 수」입니다. 분수를 소수로, 소수를 분수로 고치며, 사칙연산도 합니다. ■ 제17주제는「반올림(사사오입)」입니다. 남은 수가 4이하이면 버리고, 5이상이면 넣는 의미의 계산법입니다. ■ 제18주제는 「셈 연습」입니다. 간.. 교과서박물관/- 1945년대 2015.03.23
셈본(1-1) 9 셈본(1-1).pdf ---------------------------------------------------------------------- 저작권정보 : 출처(다음블로그 조천향교/교과서), 출전(박건춘. 셈본 1-1(WEB). 도천초등학교. 2015) ---------------------------------------------------------------------- 셈본(1-1)의 마지막 순서로 지도상의 유의점과 지도 내용을 살펴봅니다... 교과서박물관/- 1950년대 2015.02.26
셈본(1-1) 8 오늘 살펴볼 단원은 「8. 겨울」로 모두 7면입니다. ■ 눈사람 만들기, 눈싸움, 줄멎추어 걷기 삽화로 수 세기를 공부합니다. ■ 연을 날리는 사람과 구경하는 사람, 모두 몇 사람 등의 방법으로 셈공부를 합니다. ■ 나뭇가지에 앉은 참새, 팽이치기, 썰매(앉은뱅이 스케이트)도 좋은 셈공.. 교과서박물관/- 1950년대 2015.02.25
셈본(1-1) 7 오늘 살펴볼 단원은 「7. 바람가비」로 당시에는 바람개비를 그렇게 불렀습니다. 모두 3면으로 엮었습니다. ■ 바람가비를 종이로 접는 순서를 봅니다. ■ 종이접기의 다양한 방법으로 딱지와 사람, 집 등을 접은 결과물도 볼 수 있습니다. ■ 바람가비를 만들어 운동장에서 신아게 돌리.. 교과서박물관/- 1950년대 2015.02.24
셈본(1-1) 5 셈본의 「제5단원 소풍」을 펼쳐봅니다. ■ 책을 구입할 때 대부분의 내용물들이 사라지고 한 장(p.37, 38 두 면)만 남겼습니다. 책의 가운데 부분부터 떨어져 나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중 소풍에 관련되는 내용은 p.37의 한 면 뿐입니다. 상단에는 굴렁쇠놀이와 사다리 빠져나오기, 하.. 교과서박물관/- 1950년대 2015.02.13
셈본(1-1) 4 셈본 1-1의 「제4장 들」을 펼칩니다. ■ 구체물그림을 활용하여 1에서 9까지의 수를 가르칩니다. ■ 각 수들에 대한 이해가 되면 1에서 9까지의 수열 지도단계로 넘어갔습니다. 다음회는 「제5단원 소풍」의 순서입니다. 교과서박물관/- 1950년대 201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