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교과서(양잠 축산) 11 농업교과서 양잠 축산 (WEB 2).pdf 본 농업교과서는 휴대할 수 있게 제작하였기 때문에 글자 크기가 작고 책이 많이 낡았으며 많은 페이지로 지금까지의 파일 제작보다 많은 시간과 인내를 필요로 하였습니다. 오늘은 농업교과서의 마지막회로 제10-12장 말(馬)과 양봉, 가축 사료 및 부록의 .. 교과서박물관/- 1940년대 2013.09.21
농업교과서(양잠 축산) 9 아직도 농촌에서는 털을 목적으로 하는 면양보다는 고기를 목적으로 하는 염소를 많이 키우고 있습니다. 오늘은 제7장 면양(緬羊)과 제8장 산양(山羊)에 대하여 살펴봅니다. ■ 제7장 면양(緬羊)을 펼칩니다. 첫페이지에서 면양을 사육하는 목적이 조선에서 국책적사명을 달성하기 위한 .. 교과서박물관/- 1940년대 2013.09.19
농업교과서(축산 양잠) 9 1970년대까지만 해도 농촌이나 소도시에서는 집에 길흉사가 발생하면 집에서 키우던 돼지를 잡아 집을 찾은 손님들을 접대하던 것이 일상적인 마을의 풍습이었습니다. 마을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었던 친근했던 돼지가 인구증가와 생활수준의 향상에다 악취와 폐수 등 환경오염 문제가 .. 교과서박물관/- 1940년대 2013.09.18
농업교과서(축산 양잠) 8 제3장은 칠면조(七面鳥)입니다. 칠면조는 성탄절의 대표음식재료로 알려져 있는데, 토수계(吐綬雞)로도 씁니다. 닭을 나타내는 계자는 鷄인데 雞나 간체자로 鸡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칠면조에 대한 기록은 3페이지로 다룬 내용이 적습니다. 1800년대 후반에 수입(明治初年 頃 .. 교과서박물관/- 1940년대 2013.09.17
농업교과서(양잠 축산) 6 농업교과서 양잠 축산 (WEB 1).pdf 요즈음 뽕나무 재배가 조금씩 확대되고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뽕나무잎을 이용한 면류 음식, 건강차 등은 물론 의약품으로도 눈길을 돌리고 있습니다. ■ 제7장 병리(病理)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다화성잠저병(多化性蠶蛆病)은 글자대로 구더.. 교과서박물관/- 1940년대 2013.09.14
농업교과서(양잠 축산) 5 상황버섯은 동남아시아의 태국과 캄보디아 등지에 야생뽕나무들이 많이 남아 있어서 100년 이상된 명품들이 채집되어 판매되고 있습니다. 상황버섯은 단단한 바위처럼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큰망치와 정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잘게 쪼개어 음료용 차나 약용으로 사용합니다. 오늘은 제5.. 교과서박물관/- 1940년대 2013.09.13
농업교과서(양잠 축산) 4 상황버섯은 이전부터 우리나라에도 많이 있었던 버섯이었습니다. 그러다 광물을 이용한 합성섬유들이 대량생산되면서 비단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어 누에를 기르던 집들은 뽕나무를 베어내고 대신 유실수 등으로 눈길을 돌려 자연스럽게 상황버섯도 우리 주변에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교과서박물관/- 1940년대 2013.09.12
농업교과서(양잠 축산) 3 뽕나무에 기생하여 영양분을 흡수하여 결국에는 나무 자체를 죽이는 상황버섯은 암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능을 지닙니다. 다만 상황버섯은 수술 후의 환자가 먹으면 상처를 악화시키므로 금기시되어 있습니다. 제3장에서는 누에를 키우고 가꾸는 잠실(蠶室)과 잠구(蠶具)에 대하여 .. 교과서박물관/- 1940년대 2013.09.11
농업교과서(양잠 축산) 2 뽕나무는 양질의 단백질을 많이 함유한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영양실조에 걸린 아이에게 누에를 말려서 간 다음에 먹이기도 하였습니다. 요즈음은 누에로 환을 만들거나 엑기스를 뽑아 정력제로 판매도 하고 있습니다. ■ 제2장 제6절 병충해(병충해)에 대하여 살펴봅니다. 38.. 교과서박물관/- 1940년대 2013.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