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 『수학(守學)』1920년 6월 1일-1945년 8월 15일
부설 장천간이학교(장천리 657)의 최초 교사
3동의 초가(2동 교실, 1동 관사)로 겨울에는 난로(연통)를 사용하였습니다.
배경의 희미하게 보이는 뻗어내린 산등성이는 학교가 동향임을,
교사 앞 경계면에 높이 1m, 5도 정도로 경사지게 쌓은 석축은 학교가 낮은 구릉지에 소재하였음을 짐작케 합니다.
진해장학회 주축으로 경화야학회 교사를 현 경화지구대 주변에 신축합니다.
장천리에서는 657번지에 부설 장천간이학교가 문을 엽니다.
진해장학회를 중심으로 학습권을 수호하면서 광복에 대비하며 힘을 비축한 시기였습니다.
진해장학회를 주축으로 우리말과 글을 지키려하였던 활동들에서 이름하였습니다.
3권에서는 1931-1944년까지 14년간의 학교사를 담았습니다.
경화초등학교100년사(Web판) 3.pdf
8.43MB
'학교사 > 경화초등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화초등학교100년사(WEB판) 5 (1955-1963년) (0) | 2012.11.19 |
---|---|
경화초등학교100년사(WEB판) 4 (1945-1954년) (0) | 2012.11.19 |
경화초등학교100년사(WEB판) 2 (1920-1930냔) (0) | 2012.11.17 |
경화초등학교100년사(WEB판) 1(-1919년) (0) | 2012.11.16 |
경화초등학교 발자취 (0) | 2012.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