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도천초등학교

역대교장 2(광복 후 1-30대)

진해인 2013. 12. 8. 06:54

오늘은 도천초등학교의 역대교장님들에 대하여 조감합니다.

 

광복 후 학교에서 역대교장의 대수를 기록한 시기는 학사보고를 기준으로 3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제1기(1946년 5월 31일-1967년 3월 31일) 교장 대수 판단 유보 및 미기록

   진해경화국민학교의 도천분교장에서 독립, 승격한 것을 진해도천국민학교로의 출발을 시점으로 잡아 처음 교장이 되신 주기영님을 초대교장으로 기록하였으나, 이후 교장님들의 대수를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이 기간은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의 학교사 편입에 대한 정리가 되지 않아 학교장 대수에 대한 판단을 유보한 시기로 볼 수 있습니다.

 

   ▼ 진해도천공립국민학교의 첫 교장인 주기영 교장님

   


                                                                                    학교연혁을 재정비한 제12대 이수욱 교장님 ▲

 

■ 제2기(1967년 4월 1일-2013년 2월 28일)

   이수욱 교장님이 부임하면서 학교연혁에 대한 정리를 하였습니다.

   진해도천공립국민학교의 개교(1946년 5월 31일. 교명 변경으로 기록됨) 시점부터 학교 본사로 보고 역대교장 대수를 기록하였습니다. 제23회 졸업식(1968년 2월 9일) 학사보고에서 전임 김상규 교장님을 제9대, 이수욱 교장님을 제10대로 기록하였습니다.

   이후 2013년 2월 제68회 졸업식의 제27대 윤한실 교장님까지 이 체제대로 역대교장이 기록되었습니다.

 

■ 제3기(2013년 3월 1일-       )

   2013년 3월 1일 현임 교장이 부임하면서 학교사료의 발굴을 통해 학교연혁에 대한 재정비를 단행합니다.

   3월 15일의 교육과정학부모설명회에서 100여년의 학교사를 PPT동영상으로 소개하면서 역대교장의 대수를 30대로 정리하였습니다.

   광복 이후 이어진 학교사의 단절을 극복하고 개교는 하였지만 한국인 학생이 없었던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기와 진해경화공립국민학교도천분교장기의 역사를 학교 본사에 편입시켜 학교사의 정통성을 재정립한다는 취지였습니다.

   이에 의해 초대 하창수 겸임교장님은 물론 도천분교장의 본교인 진해경화공립국민학교 김영필 교장님을 제2대로 정리하였습니다.

 

진해경화공립국민학교장으로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장을 겸임하셨던 하창수 교장님

 


    도천국민학교로의 교명 변경과 훈도 주기영님을 도천의 첫 교장으로 육성하신 제2대 김영필 교장님 ▲

 

   그리고 며칠 후인 3월 20일 교실 부족으로 인한 학교역사실 폐쇄 이후 창고에서 깊이 잠자고 있던 문서 중에서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는 결정적인 문서를 찾아냅니다.

   바로 학교관사가 학교 소유임을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장과 학부모회가 확인하는 붉은색 학교장의 관인이 선명히 찍힌 공식문서가 그것입니다.

   일제강점기의마지막 교명이었던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로 본교가 재개교(1945년 9월 28일)하여 진해경화국민학교도천분교장으로 개편된 것이 아니라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라는 교명 그대로 개교식(1945년 10월 31일)을 한 것이 확인된 것입니다.

   이렇게 다시 정리하면 초대(겸임) 하창수 교장님, 교명 변경에 힘을 쏟으신 2대(겸임) 김영필 교장님, 도천 이름의 첫 교장인 제3대 주기영 교장님,  2013년 2월 제68회 졸업식을 끝으로 정년퇴임한 윤한실 교장님은 제29대, 현 박건춘 교장은 제30대가 됩니다.

 

■ 역대 교장님의 대수와 재임기간을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성 명

재 임 기 간

1

하창수

1945. 9.24-1946. 2.27

2

김영필

1946. 2.28-1946. 5.30

3

주기영

1946. 5.31-1950. 6.15

4

김치일

1950. 6.16-1952. 9.14

5

주기욱

1952. 9.15-1954. 4.28

6

차기현

1954. 4.29-1955.12.20

7

김용구

1955.12.21-1958. 9. 1

8

허  식

1958. 9. 2-1960. 3.30

9

김종두

1960. 3.31-1960. 9.27

10

양위상

1960. 9.28-1962. 2.27

11

김상규

1962. 2.28-1967. 3. 1

12

이수욱

1967. 4. 1-1972. 3.27

13

이송규

1972. 3.28-1974. 2.28

14

서규상

1974. 3. 1-1975. 8.31

15

김정도

1975. 9. 1-1979. 8.31

16

서규상

1979. 9. 1-1981. 8.31

17

김용학

1981. 9. 1-1984. 8.31

18

빈윤옥

1984. 9. 1-1987. 8.31

19

전종환

1987. 9. 1-1990. 8.31

20

김봉달

1990. 9. 1-1992. 8.31

21

정상훈

1992. 9. 1-1994. 2.28

22

옥정호

1994. 3. 1-1996. 2.28

23

김봉달

1996. 3. 1-1999. 8.31

24

윤병권

1999. 9. 1-2001. 2.28

25

조재기

2001. 3. 1-2002. 8.31

26

이동춘

2002. 9. 1-2006. 2.28

27

박석렬

2006. 3. 1-2008. 2.29

28

김양욱

2008. 3. 1-2011. 8.31

29

윤한실

2011. 9. 1-2013. 2.28

30

박건춘

         2013. 3. 1-2016. 8.31


제11대 김상규 교장님의 전출과 제12대 이수욱 교장님의 부임 사이에 1개월의 공백이 있습니다.

김상규 교장님이 문교부(현 교육부) 장학관으로 전직하면서 후임 발령이 늦어진 시기입니다.

이 기간은 법령에 따라 교감선생님이 학교장의 직무대행을 하였던 시기입니다.

 

■ 역대 교장님의 대수와 재임기간을 사진과 함께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아래 오류 수정 → 제27대 박석렬 교장님과 제28대 김양욱 교장님의 재임기간은 위의 표가 바른 기록입니다.

 

 

광복 전후에 개교한 전국의 많은 초, 중, 고등학교들 중에서 역대교장님들의 사진을 모두 찾아서 보존하고 있는 학교는 거의 없습니다.

위의 사진들은 본교는 물론 다른 학교의 사진들과 본교 동창회와의 협조를 통해 모두 수집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의 본교 연재에서는 마지막으로 자료를 입수한 제10대 양위상 교장님 재임 시에 발행하였던 졸업기념사진첩을 공개합니다.

최근 입수한 것으로 초기 졸업기념사진첩의 모형으로 이후 학교사진첩 편집의 지표가 되는 아주 소중한 사료입니다.

'학교사 > 도천초등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회 총동창회체육대회  (0) 2016.01.22
역대교장 1(일제강점기 1-11대)  (0) 2013.12.07
학예발표회(2013년) 2  (0) 2013.11.17
학예발표회(2013) 1  (0) 2013.11.16
진해제일공립국민학교 4 (연혁 수정)  (0) 2013.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