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기시대의 유물들에 대하여 살펴봅니다.
진해는 해안을 끼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신석기문화가 유입, 형성될 수 있었고 유물도 다수 출토되었습니다.
■ 벽면의 설명을 읽어봅니다.
우리가 공부할 때는 토기의 이름이 한자 중심이었는데 지금은 한글로 바꾸어 표기하고 있습니다.
■ 아래에 전시된 유물들을 살펴봅니다.
어제 농기구편의 호미 중 보습형호미를 보았는데, 돌보습을 보니 두 모양이 같다는 것을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돋을무늬토기(隆起文土器)와 민무늬토기(無文土器 무늬없는토기)과
진해 수도동조개더미에서 출토된 숫돌(砥石)
입술무늬토기(口緣文土器)외 겹입술무늬토기(二重口緣文土器)
손잡이잔(把手附杯)과 겹입술무늬토기(二重口緣文土器)
■ 토기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살펴봅니다.
1) 손빚기법(수타법), 2) 서리기법(권상법), 3) 태쌓기법(윤적법), 4) 물레기법(회전법)
'진해실록 > 진해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해박물관 6 (죽곡유적) (0) | 2013.06.15 |
---|---|
진해박물관 5 (청동기시대) (0) | 2013.06.14 |
진해박물관 4 (용원유적) (0) | 2013.06.13 |
진해박물관 2 (농기구) (0) | 2013.06.11 |
진해박물관 1 (진해) (0) | 201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