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면)
■ 진해시가 형성기의 건축물 (주168)
(주168) 출처 : 김인수. 진해의 도시형성과정에서 나타난 근대건축에 관한 연구 pp.24-29.경남대학교대학원. 2004. 진해시가의 형성기는 1910년부터 1922년까지를 지칭하며 군항 건설에 따른 군사시설의 보안 및 인구 증가에 따라 공공업무시설 및 교육시설이 우선적으로 설치된 시기이다.
1. 진해군항경리부(鎭海軍港경리부)
1912년 해군진해임시건축지부에서 건축한 단층건물이다. 전체가 일(一)자형으로 주출입구가 튀어나와 있고 상부는 삼각페디먼트로 처리하였고, 지붕에는 도머창((지붕 아래 방을 밝게 하기 위하여 설치한 지붕창)과 사각형 창문으로 되어 있다. 건축 재료는 적벽돌의 조적조로 추정하고 있다. ↙
출전 : 彬山萬太. 鎭海 | 출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2003.4) |
2. 제1전단사령부 청사 ↗
1912년경 제일전단사령부입구를 중심으로 좌우대칭형 건물로 군사시설의 강직성을 엿볼 수 있다. 조적조의 우진각 지붕의 양식으로 입구에는 기둥이 있는 포치의 구조이다.
3. 함대훈련단 청사
1912년경의 건축물로 정면 입구를 중심으로 좌우대칭형이며 지붕에 채광창이 있고, 정면부의 수직띠들과 창살들이 입면의 단조로움을 들어주었다. 구조는 조적조 우진각 지붕의 양식 건물로 입구에 기둥이 있는 포치가 있다. ▼
출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2003.4) | 현 이승만 대통령 별장 |
◼ 일본군통신대 청사 ↗
1910년대의 건축물로 평면구성은 전면의 一자형 건물과 후면의 ㅁ자형 건물을 연결하여 전체적으로는 ㄴ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광복 후 양식과 한식지붕이 결합한 형태로 개조하여 이승만 대통령의 별장으로 사용하였다. 앞쪽은 거실과 침실, 뒷쪽은 경호실과 회의실, 주방 등으로 되어 있다.
자료를 인용할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학교사 > - 실록(1911-20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41년 2(완성기 건축물) (0) | 2016.07.21 |
---|---|
1941년 1(연혁) (0) | 2016.07.20 |
1940년 2(진해제사심상소학교) (0) | 2016.07.18 |
1940년 1(연혁) (0) | 2016.07.15 |
1939년 2(용원심상소학교) (0) | 2016.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