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 실록(1911-2015)

1934년 2(장천간이학교)

진해인 2016. 6. 29. 06:21

(124면)

장천간이학교(將川簡易學校 풍호리 657번지 소재)

1934. 3.31 진해공립보통학교 부설 장천간이학교 설립인가 (주143)

1934. 4. 9 장천간이학교(將川簡易學校) 개교. 송목(松木) 훈도 부임 (주144)

1934. 4.23 장천간이학교(將川簡易學校) 개교식.

1935. 8.31 간이학교 유지계 임시총회 개최 (주145) 1935년도 예산 통과, 교사 신축문제 토의

1940. 4.23 장천간이학교(將川簡易學校) 폐교 (주146)

(주143) 출전 : 조선총독부관보활용시스템(조선총독부경상남도고시 제41). 출처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주144) 출전 : 조선중앙일보(1934.4.12.).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신문 보도일인 12()과 부임일과의 간극이 며칠 있었다고 보고 월요일인 9일에 부임을 하였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개교일로 설정하였다.

(주145) 출전 : 조선중앙일보(1935.9.5.).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주146) 덕산초등학교 개교 관련 기록을 검토해 보면 간이학교 유지계 임시총회(1935.8.31)에서 토의된 교사 신축이 이루어져 풍호리(豊湖里) 657번지로 이전하였다.(1937년 추정) 개교 당시 풍호리에 1개 교실을 증설하였으나 토지와 재정상황을 고려할 때 더 이상의 증설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현 덕산초등학교로 재이전을 추진한 것으로 보인다. 또 장천간이학교의 폐교 시점은 장천간이학교가 폐쇄되고 현 덕산초등학교를 설립하였다(진해시사 p.955)는 기록에서 1940학년도의 입학식 전일로 보았고, 진해장학회에서 이를 동시 추진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사진을 통한 학교 분석

- 3동의 초가(2동 교실, 1동 관사)로 겨울에는 난로(연통)를 사용하였다.

- 배경의 뻗어내린 산등성이는 동향, 교사 앞 경계면에 높이 1m, 5도 정도로 경사

지게 쌓은 석축은 내를 낀 낮은 구릉지에 소재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125면)


 ① 개교(현 연세사랑병원)


이전(현 풍호동 우성아파트 116)



간이학교(簡易學校) (주147)

(주147) 출전 : 오성철, <식민지 초등교육의 형성>, 2000을 요약하였다. 출처 : 국가기록원 나라기록

수업 연한은 2개년, 학급수는 1학급, 입학 아동의 연령은 10세를 표준으로 하고, 아동의 수용 정원은 대략 80, 초년도에 대략 40, 둘째 년도에 대략 40인을 모집하였는데, 초년도부터 제2학년 분을 모집할 수도 있었다. 교원은 11, 교과목은 수신, 국어 및 조선어, 산술 등의 3단위를 포함한 보통 교과와 직업 등의 네 과목이며 매주 30시간 이내로 운영하였다.



본자료를 인용할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학교사 > - 실록(1911-20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35년 1(연혁)  (0) 2016.07.01
1934년 3(강당 설계면)  (0) 2016.06.30
1934년 1(연혁)  (0) 2016.06.28
1933년  (0) 2016.06.27
1932년  (0) 2016.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