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 2-3(흑백다방) 진해군항마을역사관의 북쪽에는 광복 후의 진해문화를 대표하는 흑백다방이 있었습니다. ■ 2. 흑백다방 ▪ 수정할 내용 1) 흑백다방 → 문화공간 흑백 2) [Heuk Baek Teahouse 白黑噄茶店] → 문화공간 흑백 3) 설계년도 1940 → 개조연도 1961 4) 1955년 칼멘다방을 서양화가 유택렬이 인수하.. 진해실록/- 근대사진전시회 2017.09.04
흑백 5(주요 행사) 「문화공간 흑백」동편 책장 위의 전시대(?)에는 이곳을 소개하는 팜플렛과 소책자들이 놓여 있습니다. 진해예술촌 작가 관련 내용은 다음 기회에 소개를 드리기로 하고, 유택렬 화백 관련 자료들만 연도 순으로 소개드립니다. 문화공간을 운영하는 유경아님은 도천초등학교 33회 졸업생.. 진해실록/문화공간 흑백 2016.04.29
흑백 4(유택렬 작품) 「문화공간 흑백」의 벽면에 전시되어 있는 「유택렬 화가」의 작품들을 제작 연대순으로 소개드립니다. ■ 아래의 상설전시회 안내 속에 등장하는 유택렬 화백의 자화상은 1958년 캔버스에 유채로 제작한 것입니다. ■ 1961년. 캔버스에 유채. <부적에서> ■ 1974년. 한지에 먹. <부적.. 진해실록/문화공간 흑백 2016.04.28
흑백 3(내부 - 북,동) 『문화공간 SINCE 1955 흑백』의 북쪽면과 동쪽면을 소개드립니다. ■ 지난 회에 보았던 서북편 모서리의 주인장 쉼터로 사무도 보면서 내방객과 담소를 나누는 곳입니다. ▷ 멀리서 오랜만에 이곳을 다시 찾은 어느 부부의 추억 속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입니다. 출입구가 있는 북서편의 .. 진해실록/문화공간 흑백 2016.04.27
흑백 2(내부 - 남,서) 오늘과 내일은 1층 내부의 남쪽면과 서쪽면을 살펴봅니다. ■ 작은 음악회가 열리는 연주공간으로, 문화모임의 주관장소로 사용되며, 의자부터는 회원(관람)석입니다. ▷ 왼쪽(동) 벽면에서 다양한 액자 속의 사진들과 소품들을 볼 수 있습니다. ▷ 사생활에 깃든 공간이어서 고 유택렬 .. 진해실록/문화공간 흑백 2016.04.26
흑백 1(외부 전경) 이번 주에는 광복 후 진해를 비롯한 전국 예술인들의 추억이 서려 있는 약칭「문화공간 흑백」을 찻아갑니다. 정식 상호는 『문화공간 SINCE 1955 흑백』이며, 기억 속의 이름은 『흑백다방』입니다. 지난 4월 8일에 촬영한 화면으로 오늘은 건물의 외부를 안내합니다. ■ 정면과 측면에서 .. 진해실록/문화공간 흑백 2016.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