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 실록(1911-2015)

1935년 3(도인 김덕주)

진해인 2016. 7. 5. 07:12

(132면)

제피내(造川里)의 도인(道人) 김덕주(金德柱) (주151)

진해의 제피내(조천리) 마을에 선산 김씨 30대손 덕주(또는 덕조)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는 축지법과 기상 예측(주152) 등 초인적인 힘(주153)미래를 예지(豫知)하는 능력까지 두루 갖추어 사람들은 그를 이인(異人), 또는 기인(奇人)(주154)으로 불렀다.

그의 집은 장백산(長伯山) 꼭대기에 있는 바위들을 붙여서 지은 바위 집(德柱峰, 덕주바위)에서 살고 있었는데 월 2-4회 마을에 내려왔을 때에는 꼭 제피내에 있는 박씨의 집들(1256, 1460-2, 1464-1번지)에서 이야기를 나누다가 식량을 얻어가곤 하였다.

 (주151) 밀양박씨행산파조천문중에서 전해 온 내용으로 朴德守(필자의 )에게서 들은 내용을 필자가 옮긴 것이다. 1860년대에 출생하여 1940년대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머리카락을 치렁치렁하게 늘어뜨리고 드물게 풍덕개장이나 경화장에도 모습을 나타내었다고 전하는데 그의 각종 예언들은 조천리에 거주한 김덕주의 지인(知人)들을 통해 주로 장시에서 전파된 것으로 이야기한다. 조선시대 말기의 후천개벽사상(後天開闢思想)을 설파한 증산도(甑山道)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보고 있으며 김해로 피신한 시기는 1930년대 초중반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해로 떠난 후 김해에서 여생을 보냈다는 설과 계룡산으로 옮겨 도를 닦으며 여생을 마쳤다는 설이 전하고 있다.

(주152) 마을에 내려왔을 때 마지막으로 들르는 제피네의 박씨집에서 용무를 마치고 가면서 비가 올 것이니 설거지를 하라고 말하고 떠나고 잠시 후에 그의 집에 불이 밝혀졌다고 한다. 김덕주가 덕주바위에서 왼쪽다리를 끄덕하면 부산에 도착해 있고, 부산에서 다시 오른쪽다리를 끄덕하면 진해의 덕주바위에 돌아와 있었다.’는 이야기와 부산의 친척집 결혼식에 가려고 모두 기차를 탔는데 부산의 역에 도착하니 알아서 가겠다던 김덕주가 먼저 역에 도착해 기다리고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 오고 있다.

(주153) 장백산(長伯山)의 가장 높은 꼭대기에 있는 큰바위 옆에 직접 운반해 온 바위들을 붙여서 지은 바위집에서 살았다고 전한다. 조천리 주민들은 이곳을 덕주암, 덕주바위 또는 덕주방구로 불렀다. 덕주가 떠난 후 집은 무너지고 바위들만 남게 되었는데 지금은 덕주봉으로 통칭하고 있다.

(주154) 이인(異人 재주가 신통하고 비범한 사람)과 기인(奇人 성격이나 말, 행동 따위가 보통 사람과 달리 유별난 사람)으로 불렸으나 그의 수련 및 득도의 과정을 고려하여 도인으로 칭하였다.


(133면)

문맹(文盲)이어서 글자로 남긴 것은 없으나 다음과 같은 이야기들이 전해오고 있다.

1. 흰 다리가 오면 나라가 망한다. 일본 해군육전대가 진해에 군항을 설치하려고 측량을 하러 올 때 다리에 흰 행건을 두르고 온 것을 예언한 것이다. (1905)

2. 한일거리에 큰 도시가 생길 것이다. 이는 한일거리가 도시계획으로 경화동이란 격자형 도시가 만들어 질 것을 미리 안 것이다. (1910-1914)

3. 5일장이 옮겨 올 것이다. 이는 3·8일로 열리는 풍덕개 장시가 일본 해군의 비행장 건설로 경화동으로 옮겨올 것을 미리 알린 것이다. (1914)

4. 웅동에서 뱀들이 꼬리를 물고 몰려 올 것이다. 이는 웅동에 수원지가 조성되어 물을 끌어 올 송수관이 부설될 것을 예언한 것이다. (1914)

5. 창원에서 큰물이 넘어올 것이다. 창원 성주사에 수원지가 조성되고 장복산굴(경화굴)이 뚫리면서 물을 끌어 올 송수관이 부설될 것을 예언한 것이다. (1926)

6. 닭장 같은 집에 살게 되면 세상이 다 된 줄 알아라. 이는 아파트에 사람들이 입주하면서 인심도 각박해질 것을 예언한 것이다. (1945년 광복 후)

그는 일본 헌병의 불심검문을 받고 불응하여 달아났다가 일본 헌병이 장복산까지 수색을 하러 오는 것을 보고 그 길로 김해 장유면으로 피신한 후 아무도 그의 행적을 알 수 없다고 한다.

2013년 창원시의 지원으로 경화동으뜸마을만들기추진위원회에서 지금의 덕주동산(경화동 1337, 1295번지)을 조성하였으나, 두산위브직장조합아파트 건축공사로 2015410일 철거되었다.



자료를 인용할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학교사 > - 실록(1911-20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37년 1(연혁)  (0) 2016.07.07
1936년  (0) 2016.07.06
1935년 2(창원군지도)  (0) 2016.07.04
1935년 1(연혁)  (0) 2016.07.01
1934년 3(강당 설계면)  (0) 2016.06.30